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17 23:48:44
Name 信主NISSI
Subject [판타지] 2007프로리그가 연 4회였다면.
아래 표는 각팀이 처음 만났을 때를 기준으로한 순위표입니다.(실제로는 특정팀을 두번상대할 때까지 다른 팀과 경기가 없는 경우도 있었기에, 판타지입니다.)

2007 판타지리그 시즌1 순위표.
1.삼성 10승 1패 +18
2.STX 7승 4패 +5
2.온겜 7승 4패 +5
4.CJ 6승 5패 +3
5.르카프 6승 5패 +1
6.KTF 6승 5패 0
7.SK 5승 6패 +3
8.엠겜 5승 6패 +1
9.팬택 4승 7패 -4
10.한빛 4승 7패 -6
11.이스트로 3승 8패 -13
12.공군 3승 8패 -16


그리고 두번째 대결했을때의 순위표입니다.

2007 판타지리그 시즌2 순위표.
1.엠겜 9승 2패 +16
2.르카프 9승 2패 +15
3.STX 7승 4패 +5
4.삼성 7승 4패 +3
5.이스트로 6승 5패 +2
6.CJ 5승 6패 -5
7.KTF 4승 7패 -3
8.온겜 4승 7패 -5
8.한빛 4승 7패 -5
10.SK 4승 7패 -7
11.팬택 4승 7패 -8
12.공군 3승 8패 -12

아실 분들은 아시지만 전 이스트로의 팬입니다. 그리고 이글은 그들의 화이팅을 칭찬하고자 쓴 글입니다. 물론, 어제 SK와의 에이스결정전에서 졌지만, 만일 그경기만 이겼다면 판타지에서나마 포스트시즌진출의 꿈이 이뤄질 수 있는 성적을 거둔 것입니다. 아니, 최종전까지 포스트시즌을 두고 경기를 할 수 있을 만큼의 성적을 거둔것입니다.

혹, 시즌이 끝나갈 무렵 상대팀이 전력을 하지 않은 결과라고 할 수 있지만, 막판 고춧가루부대로서 가장 활약한 팀이 어디인가를 생각하면 분명히 아닙니다.

선수에 대한 투자부분에서, 현재 가장 적은 팀입니다. '공군'이라 하실지도 모르지만, 만일 공군에서 연봉을 일반적으로 지급한다고 생각한다면,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또 '팬택'이라고 할지 모르지만, 당장이라도 팬택이 인수하는 기업이 생기면 이스트로의 투자액을 넘어설 겁니다.

전 그들이 얼마나 무시당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얼마나 관심에서 벗어났는지도 알고 있습니다. 시즌내내 SK와 같은 날 경기가 있었기에 어쩌면 더더욱 두드러졌었습니다. 그래도 그 활약이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예선이 2일남았습니다. 이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 양방송사의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를 기원합니다. 또 후기리그에선 포스트시즌 가는겁니다!

Ace, Best, Creative, Dreamteem Estro Fightin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18 00:00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삼성의 전기리그 1라운드 승률은 정말 덜덜덜이네요;;; 10승 1패라니 이제까지 이렇게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준 팀이 있었나요..
-하지만 그런 팀이 마지막 경기까지 광안리 직행을 결정 못지었다는거.
르카프와 엠겜의 2라운드 승률도 기가 차네요.

프로리그만의 치열한 "순위다툼"의 쏠쏠한 재미를 느끼게 해준 시즌이었습니다.
-하지만 작년 전기리그가 더했다는거.
信主NISSI
07/07/18 00:02
수정 아이콘
JaeS님// 세시즌 연속 순위싸움이 치열했죠... 사실 프로리그는 참 운이 좋은 편...
07/07/18 00:08
수정 아이콘
이런 장기 리그에서 세 시즌 연속으로 재미있는 순위싸움이 벌어졌다는 것은, 운이 좋다기 보다는 시스템이 좋아서 라고 해석하는것이 더 맞지 않을지요.

STX나, 르카프와 같이. 프로리그도 얼마든지 스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시스템이 되었습니다. sylent님의 "개인리그가 생산한 스타를 프로리그가 소비한다"는 공식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하지만. 프로리그 역시 단순히 스타를 가지고 있는 팀만이 우승하는 것이 아닌 훌륭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꼭 信主NISSI님의 답글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 전체적인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겁니다. 쓰다보니 뭔가 이상해져서;;허허
07/07/18 00:09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信主NISSI님께서는 그저 운이 좋다고 했는데 좀 흥분했네요. 죄송합니다.
不平分子 FELIX
07/07/18 00:33
수정 아이콘
김원기 선수.....
이 선수만 살아 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the hive
07/07/18 00:38
수정 아이콘
이스트로 화이팅~~ 차기리그에는 좀더 잘하자 ㅠㅠㅠㅠㅠ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632 블리즈콘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3 대진 나왔습니다... [43] 한방인생!!!7445 07/07/31 7445 0
31630 역시나 뜨거운 감자 마재윤 [25] 메렁탱크8160 07/07/30 8160 0
31629 그가 올라갔습니다. 마재윤!!(분석글) [7] 삼삼한Stay6615 07/07/30 6615 0
31628 마재윤선수의 경기력.. 그리고 이영호선수 [13] Yes6876 07/07/30 6876 0
31627 마재윤 선수 ! 무엇이 문제인가? [38] 마의연주곡7198 07/07/30 7198 0
31626 또 하나의 지는 별 [10] 하늘유령6765 07/07/30 6765 0
31625 마재윤 화이팅. [76] 볼텍스7424 07/07/30 7424 0
31624 삼성전자 칸 VS 르까프 오즈. 엔트리로 보는 광안리 결승전. [14] Leeka5588 07/07/30 5588 0
31622 결승전 엔트리가 공개되었습니다. [86] Sin8360 07/07/30 8360 0
31619 헐렁이 유령 누나팬의 감사인사. [18] pailan5918 07/07/29 5918 0
31618 르까프 오즈 결승진출 축하합니다 ^^ [6] 신동v5263 07/07/28 5263 0
31617 뮤탈리스크의 활용성이 이까지 오게 되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29] Yes11340 07/07/28 11340 0
31616 프로리그 광안리. 맵 발표와 엔트리 예측. [26] Leeka6090 07/07/28 6090 0
31615 와....... 최고 수준의 프프전을 봤습니다. [46] SKY928630 07/07/28 8630 0
31614 프로리그 서브리그의 도입 [33] 信主NISSI6043 07/07/28 6043 0
31613 히어로는 포스트시즌에서 카드가 정말 많았을까?. [36] Leeka12165 07/07/28 12165 0
31612 어리석은 자의 우물 [25] 하야로비6493 07/07/27 6493 0
31610 새로운 테-저전의 라이벌전 마재윤대 이성은, 김준영대 변형태 [37] Withinae7890 07/07/27 7890 0
31609 # 신한은행배 2007 전기리그 플레이오프 MBCgame HERO Vs Lecaf OZ [33] 택용스칸7496 07/07/27 7496 0
31608 MSL과 함께 달려온 꿈의 군주, 그리고 그의 성지. [32] 하성훈7052 07/07/26 7052 0
31607 차기시즌 시드권자 분석 2 - 곰TV MSL S3 1 ~ 5위 [5] 彌親男5096 07/07/26 5096 0
31606 [sylent의 B급칼럼] 스타리그가 지겨울 때 [28] sylent8319 07/07/26 8319 0
31604 최근 1년 전적으로 보는 10명의 저그들의 프로토스, 테란전 승률과 고정관념. [39] Leeka6662 07/07/26 66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