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24 16:53:16
Name 승리의기쁨이
Subject 삼해처리의 힘은 크네요
김윤환선수 언제부터인가 ktf의 김윤환선수와 이름이 같네 하면서 그냥 지켜보기만 했죠.

어느순간부터 프로리그에서 그것두 에이스 결정전에서 이기기 시작하는데

오늘도 강력한 최연성선수를 두고 마재윤스탈의 삼해처리로 강력하게 밀어버리네요

최연성선수는 요즘 계속 무기력하게 지는 모습만 보여서 안타깝네요 다음엔 더 분발해주세요

stx소울팀은 요즘 승승장구네요

잘하면 광안리 직행두 가능할꺼 같은데요

이길꺼라 생각했떤 진영수 선수가 져서 좀 아쉽긴 하네요

체제전환을 빨리 바꾼 전상욱 선수가 잘한것 같습니다.

테테전에서 벌쳐로만으로는 이기기 힘들죠  

그렇게 많은 벌처들은 처음 본것 같습니다.

좀 징그럽더라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24 16:55
수정 아이콘
T1 에결은 답이 없내요~
에결만 8연패~ 전부다 마린 SCV러쉬해도 한번은 이길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ㅡ.ㅡ
좀 분발합시다 이미 전기리그는 건너갔고, 고추가루도 못뿌리고
후기리그나 좀 잘해봐요...증말!!!!!!!!
Ace of Base
07/06/24 16:55
수정 아이콘
아.. 그런 .. 백만년전 트릭에 속아버리다니 -_-
최선수의 천적은 어떤선수가 아니라 저글링같네요.
메렁레피
07/06/24 16:56
수정 아이콘
오늘껀 삼해처리가 문제가 아니라...앞마당에 놀러온 저글링 7마리에 마린 6마리가(5마리 였나요 ㅡㅡ?) 죽고....상대편 앞마당에 놀러갔던 1차 병력은 상대편 저글링 위치도 제대로 파악못해 그냥 싸 잡히는 순간 이미 경기가 기운거죠...저그는 적절한 타이밍에 1시 먹었는데 구경가보지도 못해보고....
박대장
07/06/24 16:57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 최근 저그전 한방 모아서 진출이 아니고 소수로 진출하다 이득 못 보고 패배네요.
마재윤, 박성준, 김윤환 전이 다 그렇게 첫 소수 진출 병력 무기력하게 잡히고 지지...
원래 최연성 선수가 저그전을 소수 먼저 진출해서 이득보는 식이었나요?
태엽시계불태
07/06/24 16:58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 이렇게 무기력하게 지나요?
예전에 자존심때문에 조금만 불리해져도 gg치는 선수였는데
오늘은 진짜 아쉬웠나보네요
커맨드터지기 직전에 지지치다니. .
최연성선수도 이제 최종보스는 아닌것 같군요
누구한테도 지지않을 포스이고 닥치고 이기던때가 있었는데
지고도 가위바위보싸움에서 졌을뿐 실력으로 지진 않았다고 할때가 엊그제 같던데
이 선수도 이런 날이 올줄은 꿈에도 몰랐네요
서정호
07/06/24 16:58
수정 아이콘
오늘 에결에서의 최연성선수의 모습이 현재 티원이 모습일듯...
이제 티원에게서 공공의 적의 모습은 기대하기 힘들어 보이네요...
카이사르
07/06/24 16:59
수정 아이콘
이미 s급에서 내려온지는 한참됐고요.. 오늘 경기보니 a급도 간당간당한 느낌입니다. 성큰 한개있으면 저글링 많이 뽑았을거라는 예상은 아마추도 할거라고 봅니다.
不平分子 FELIX
07/06/24 17:01
수정 아이콘
1성큰 깔고 2성큰 변태하면서 테란 한방병력 꼬시기 플레이 은근히 재미있는데.....

요즘 타우크로스 테저전이 재미있는게 제가 하는 공방 수준의 플레이가 많이 나옵니다.
2햇 발업 저글링. 1성큰 유인후 저글링 후위공격. 2햇 보여준 후 빠른 타스타팅.
사실 저는 3햇보다 2햇 플레이를 좋아해서 저런 플레이들을 많이 하는데
솔직히 신기한게 프로게이머들이 저런 플레이에 당하네요. 그것도
진영수, 이윤열, 최연성 같은 톱 게이머들이 말이죠.
07/06/24 17:01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 최근전적중 저그전의 대부분이 저글링에 피해입고 진것 같네요.
러쉬를 가라고 하는 악마의 속삭임이라도 들리는건지 안타깝기만 하네요...

이성은전 이후 연패 빨리 끊읍시다. 팟팅입니다.
07/06/24 17:01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 표정이 너무 ㅠ
찡하니
07/06/24 17:04
수정 아이콘
김윤환 선수 에결만 6전 6승 소리없이 강하네요~
Dr.faust
07/06/24 17:06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가 예전부터 저런 스타일로 이득을 많이 봤습니다.
마재윤식 3해처리가 확립되기 전에도 많은 저그 선수들이 저글링은 시간을 끌거나 마린의 진출을 정찰하는 정도로만 사용하고 일단 레어를 가서 승부를 보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그 당시에 최연성 선수가 저그 선수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생머린 러쉬나 소수 머린 메딕 압박후에 그 병력을 살려서 후속 병력이랑 합류한후 압박하는 액션을 보여주면서 몰래멀티해서 힘으로 누르는 등 초반 소수 병력 운용으로 이득을 많이 보았습니다.
최근 저그 선수들이 저글링의 컨트롤이 늘면서 여러 가지 활용 방안을 마련했고, 저글링을 초반에 좀 뽑아도 불리하지 않다는 마인드의 변화가 이유가 아닌가 싶습니다.
예전에는 초반에 저글링 많이 뽑았다가 이득 못보면 무조건 지는 것처럼 여겨졌었으니까요.
모짜르트
07/06/24 17:07
수정 아이콘
요즘의 최연성은 이미 예전 최종보스의 그 최연성이 아니죠.
Dr.faust
07/06/24 17:08
수정 아이콘
최근에도 저글링 많이 뽑았다가 아무 이득 못 보면 테란이 유리한 것 맞지만 예전보다 암울해지는 정도(?)가 좀 덜해졌다고 봅니다. 저그플레이어들의 전반적인 운영력이 늘어나면서요.
Dr.faust
07/06/24 17:10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는 쉬면서 경기 감각을 끌어 올리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예전의 그 숨막힐 듯한 압박감이 사라진 것 같습니다.
모짜르트
07/06/24 17:12
수정 아이콘
무엇보다 최근의 최연성 선수는 게임내 반응속도가 굉장히 무뎌보입니다.

저그전에서 버로우된 러커에 마린 신속하게 빼지 못해 많이 잃는 모습 봐도 그렇고, 초반 저글링 찌르기 들어올때 대응이 너무 느려 많은 피해를 입더군요.
보름달
07/06/24 17:12
수정 아이콘
진정 '본좌의 시대'는 끝이 난건가요.
지존본좌=Maestro
07/06/24 17:14
수정 아이콘
정말 오늘은 최연성답지않았습니다...게임을 지더라도 뭔가 화끈한게 있는맛이 최연성스러운맛인데...완전 무기력해보였습니다..ㅜ_ㅡ
07/06/24 17:14
수정 아이콘
예전 최연성 선수가 압도적인건
더블 해놓고도 소수병력으로 압박감을 느끼게 해줘서 그랬죠.
자신은 부잔데 상대방은 그냥 분위기만으로도 가난할수밖에 없는..

진짜 숨막힐듯한 압박감도 이젠 느껴지지 않고 아직도 게임 읽는 눈은 여전한데 컨트롤이 보완이 안되네요..
07/06/24 17:16
수정 아이콘
조제님 격려는 좋지만 소설은 위험합니다.
그러나 격려도 없고 채찍질만 있는것 같아서 더 아쉽네요.
낭만토스
07/06/24 17:24
수정 아이콘
바로 얼마전에 '역시 최연성이다' 라는 글을 본것 같은데, 또 한판지니 반응이 이렇네요. 또 다음주에 승리하면 '역시 최연성은 최종보스' 라는 댓글이 무수히 달리겠죠. 이젠 이런 댓글 봐도 무덤덤
07/06/24 17:26
수정 아이콘
정찰간 SCV로 초반 생산된 저글링 숫자를 제대로 파악 못했죠.
본진 해처리에서 라바가 2개 1개 따로 변태를 했는데.. 보통은 저글링+드론 정도겠거니... 했는데
나중에 변태한 라바1개마저 저글링;; 게다가 앞마당에서 라바1개도 저글링;;;
늘 하던대로 였다면 첫 마린 6기가 그렇게 허무하게 죽을 싸움이 아니었습니다만;;;
절묘.... 까지는 아닌 나름 멋진 페이크 였다고 할까요;; 중계 보다 혼자 흠찟~!! 했던 장면이었습니다.
아쉽네요 많이...............
07/06/24 17:27
수정 아이콘
첫병력이 너무 쉽게 잡힌게 아쉬웠습니다 파이어벳 추가해서 같이 들어가거나 아예 공격을 안했어야 했는데
07/06/24 17:31
수정 아이콘
낭만토스// ^^; 저도 예전엔 매시합마다 올라오는 같은 팀 응원하는 분들의 일희일비성 도배글에 짜증도 났었는데, 이젠 그러려니 합니다. 무덤덤~~
박대장
07/06/24 17:36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가 한 동안 잘 나가다가 요즘 부진한 것은 사실이지만 몇 경기 졌다고 그의 무서움이 다 사라졌다고 말하는 것은 오바이긴 하죠.

그래도 아직까지 그 누구와 붙어도 이길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아주 극소수의 선수임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하리하리
07/06/24 17:47
수정 아이콘
글쎄요 마재윤식3해처리의 강력함으로 보기엔 오늘최연성선수의 무기력한 꼬라박기는 정말 할말이없더군요..
마음의손잡이
07/06/24 19:54
수정 아이콘
예전 815나 러시아워에서 벙커링더블커맨드하면서 상대저그를 가난하게 만들고 우주수비 물량 이런거 많이 했엇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356 2007년 하반기. 오션스 13? 오션스 12? 오션스 11? [16] The xian5633 07/07/04 5633 0
31355 WEG 리그 방식이 또 바뀌었군요... [10] 한방인생!!!5036 07/07/04 5036 0
31352 해군 팀 창단 소식을 들으며, 혹시나 하는 설레발 하나. [24] DeaDBirD7451 07/07/04 7451 0
31351 길들일 수 없는 한빛의 늑대 - 윤용태 [12] 점쟁이4949 07/07/04 4949 0
31350 선수 기용의 최상의 판단은 무엇일까요? [32] 나다5426 07/07/03 5426 0
31349 CJ의 포스트시즌 가능성은? [30] 질롯의힘5863 07/07/03 5863 0
31348 2 아머리. 이제는 그만합시다. [24] 하수태란8088 07/07/03 8088 0
31347 [sylent의 B급토크] 온게임넷 vs MBC게임 #01 [72] sylent8125 07/07/03 8125 0
31346 영웅전설, 그 두번째 전설을 계승하는 자 윤용태. [19] legend5872 07/07/03 5872 0
31345 개인리그, 덩치를 키워라. [8] 信主NISSI4469 07/07/03 4469 0
31344 송병구, 무결점을 향한 충동 [31] Judas Pain7540 07/07/03 7540 0
31342 이번 프로리그, 삼성을 막을수 있는 팀이 존재할까요? [61] Mr.Children7343 07/07/02 7343 0
31340 드라군...드라군...드라군... [59] 카이사르_Jeter8911 07/07/02 8911 0
31339 오늘 SKT 와 스파키즈의 경기중 4경기 말이죠. <스포일러 포함> [8] 반아5670 07/07/02 5670 0
31338 삼성전자의 싹쓸이. 가능할까요? [20] Leeka4119 07/07/02 4119 0
31337 제가 생각하는 엄재경 해설위원의 딜레마. [67] 김광훈8589 07/07/02 8589 0
31336 이성은. 이 선수의 끝이 안보입니다. (프로리그 스포일러) [16] 하늘유령5513 07/07/02 5513 0
31335 각종족의 2등 혹은 주변인들이 모였다. [11] Phantom4067 07/07/02 4067 0
31334 양대리그 4강. 저그 몰락, 토스 양대 산맥 구축, 테란 신성 돌풍 [6] 하늘유령4734 07/07/02 4734 0
31333 2007년 상반기...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명경기들 [11] 하이5999 07/07/02 5999 0
31331 이영호, 그의 저그전 [25] Again7867 07/07/02 7867 0
31330 YANG..의 맵 시리즈 (20) - Shockwave [16] Yang6244 07/07/02 6244 0
31329 이성은 vs 김택용의 결승을 바랍니다. [17] 난하5765 07/07/01 576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