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08 00:35:11
Name Toast Salad Man
Subject 협상 결렬 뉴스....협회를 빙자한 대기업의 유괴인질 도적질에 대해.
http://www.khgames.co.kr/esports/news_i_content.htm?code=esportsnews&idx=412

절대적으로 보면 온 미디어, 엠비씨 게임을 중소기업이라 볼수는 없지만,
협회측의 회사를 보면 상대적으로 중소기업이 되는군요.

산업 전반적인 분야를 보면 항시 대기업의 횡포,
대기업의 중소기업 압살하기의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결국 이 판도 그렇게 되는군요.

마이크로 소프트가 비난받는 이유중의 하나는 그들의 지독한 적대적 M&A때문이었습니다.
그 적대적 M&A의 총책임자라 일컬여지는, 스티브 발머는 지옥의 사자라는 별명까지 가지고 있죠. 그런데 마이크로 소프트는 신종 업체를 자본의 힘으로 사버릴때, 최소한의 정당한 금액 이상의 막대한 금액을 제공하는 정도의 기본은 지켰습니다.
허나, 협회라는 단체는 그런것도 없고 다 날로 먹으려고 하는군요.

저는 양 방송사 주주도 아니고, 양 방송사가 잘된다고 해서 제가 무슨 이득을 보는것도 아닌 그저 팬 입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누가 중계하던 경기만 보면 됩니다.
그러나.....이 상황에 화내게 되는것은....이 두 단체가 지금까지 쌓아놓은 것을 협회란 것이 강도질 하는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개인이건 단체이건, 자선산업이었건 수익산업 이었건,
정당한 노력을 통해 이룩해 놓은것을 누군가 한번에 뺏어가는것은 그릇된것입니다.

양 방송사는 남들이 비웃을때  맨땅에 헤딩하며, 허름한 방에서 탁구판 놓고,
PC방을 전전하며 푼돈의 상금이나 받고, PC방 폐인 및 오락 중독증으로 거론되던
게이머에게 e스포츠 선수란 호칭을 받게 해주었습니다.
체계화된 리그 진행 및 방송 진행을 통해, 순간의 유행정도로 끝날 e스포츠계를 하나의 산업으로 만들어 냈습니다.
골방 게임 폐인의 이미지를 떨치는 야외 무대를 계획하고, 맵을 만들었습니다.
홍보를 하고, 관중을 동원하고, 스폰서를 따오고, 이 판을 '창조'해냈고 '발전'시켜왔고
이 모든것을 통해 현재 e스포츠의 전체적인이미지를 만들어 냈습니다.

협회쪽 에서는 양 방송사가 선수들에게 뭘 해준게 있냐고 하지만,
직접 도와주진 않았을지 몰라도, 이 전반적 산업을 만들어냄으로 인해 지금 선수들이 그 혜택을 누리게 했습니다.

협회쪽에서는 e스포츠를 위해 방송사가 뭘 했냐라고 하지만,
방송사들의 노력의 결실이 현재의 e스포츠 입니다.

그럼....
대체, 협회는 무엇을 했습니까?
프로리그를 협회가 만들어 냈습니까?
프로리그의 스폰서를 협회가 따냈습니까?
남의 노력의 결실을 도적질하는게 성과입니까?
한 방송사의 리그를 강제적으로 없애버리고 (엠비씨게임 팀리그)
이제는 양 방송사의 리그와 산업 전체를 유괴해가려 하고,
방송사가 도적질 못 당하겠다고 하니, 개인리그에 선수를 불참시키겠다는게 성과입니까?
도대체 뭘 했길때, 남의 성과가 모자르다며 비난하며....자신들이 뭔가 보여주겠다고 하는게 고작 강도질입니까?

양 방송사가 아예 e스포츠란 산업이 존재 하지도 않을때,
힘들게 그걸 창조해내고 여기까지 이끌어 왔더니,
자본의 힘으로 밀어붙여 순식간에 자기네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건,
선수와 팬들을 인질로 삼은 비열한 납치극이며 강도질 입니다.

제가 두려운건,
협회의 비열한 인질극에 놀아나, 협회가 강도질한 경기를 어쩔수없이 보게될까봐 입니다. 그래서 협회의 침묵의 동조자가 될까봐 입니다.

아무튼....
팬들차원에서라도 뭔가 행동이 있었으면 합니다.
개개인 선택의 자유이기 때문에 강요할 문제도 아니고, 괜한 선동으로 보여질까
두렵지만...최소한 오프 불참이라던지, 최대한 방송 보이콧이라던지 뭔가가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왜냐면....불의를 인지하고도 침묵하고 따라가는한 불의의 동조하는것이기 때문이고...그런 사회적 불의는 언젠가 우리에게 칼을 겨누게 되기 때문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처음느낌
07/03/08 00:35
수정 아이콘
앞으로 캐스파라고도 하지맙시다.

개스파라고 합시다.
싱클레어
07/03/08 00:39
수정 아이콘
주훈이 sk랑 계약한것이 이판의 최대 실수...
카이레스
07/03/08 00:41
수정 아이콘
도둑놈 심보,
적반하장이 딱 어울리네요.
07/03/08 02:16
수정 아이콘
개스파가 온게임넷과 엠비씨게임과의 관계를 완전히 끊고 IEG와 함께 스타판을 키워나간다면 과연 얼마나 버틸지 모르겠군요.
아예 이참에 온게임넷과 엠비씨게임 양자간의 협회가 출범했으면 좋겠군요.
온게임넷과 엠비씨게임의 협회가 생기면 예전처럼 지겹게 싸우겠지만, 지금의 개스파의 운영보다는 훨씬 매끄럽고 유연할 것 같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197 PGR에는 필진들이 필요합니다. (게임게시판 활동량 감소에 대한 이야기...) [30] 모짜르트6222 07/10/02 6222 0
32195 네이버 스포일러... 후우, 난감하네요 [28] 그렁그렁6332 07/10/02 6332 0
32194 Kespa. 통합랭킹을 없애자. [24] 골든마우스!!5446 07/10/01 5446 0
32193 송병구 선수가 Kespa 랭킹 1위 자리에 등극했군요! [32] 비수6949 07/10/01 6949 0
32191 마재윤 vs 이영호(T) 맵탓? 잘못된 운영? [76] 낭만토스9465 07/10/01 9465 0
32190 프로리그에서 잘나가는 선수들은 프로리그에서만 잘나간다? [122] 로바로바5677 07/10/01 5677 0
32189 티원 프로토스와 화끈한 세레모니 [18] 마법사scv6593 07/10/01 6593 0
32188 프로리그 5세트 속 숫자의 법칙(?) (06후기리그~07전기리그) [7] 이선홍4398 07/10/01 4398 0
32187 승률...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요? [59] 시암4957 07/10/01 4957 0
32185 ☆☆ 주간 PGR 리뷰 - 2007/09/24 ~ 2007/09/30 ☆☆ [3] 메딕아빠5180 07/09/30 5180 0
32181 혹시 김택용 vs 김준영 전을 보고, 이 경기를 떠오르신 분 있나요? [29] 라울리스타7558 07/10/01 7558 0
32179 김택용의 저그전에 대한 분석 [44] 남자의로망은7609 07/09/30 7609 0
32178 페르소나 제작노트 [36] Forgotten_12886 07/09/30 12886 3
32177 종족별 2인자들의 승패와 승률 [33] 로바로바6211 07/09/30 6211 0
32176 PGR평점 랭킹 - 9월 30일 [7] ClassicMild4705 07/09/30 4705 0
32175 @@ 2007년 공식경기 다승/승률 순위 ...! [13] 메딕아빠4948 07/09/30 4948 0
32174 강진우 선수의 그랜드 파이널 우승을 축하합니다. [28] 라이디스5241 07/09/29 5241 0
32173 카트라이더 그랜드 파이널(완전 스포일러) [6] 사랑니4257 07/09/29 4257 0
32172 각 무료보기 서비스 비교 및 평가. [35] 수험생7407 07/09/29 7407 0
32171 # 김택용 선수의 공식전 + 이벤트전 전적입니다. [35] 택용스칸6823 07/09/29 6823 0
32170 스타리그 1주차 관전기와 잡담 조금- [6] My name is J4458 07/09/29 4458 0
32169 국내 최고의 워크래프트3 리그, AWL 2007 이 개최 됩니다. [10] kimbilly4701 07/09/29 4701 0
32168 [영상] 김택용vs김준영 하이라이트 [20] UZOO6233 07/09/29 62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