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8 11:27:54
Name
Subject 마재윤선수가 신한3차 스타리그 우승으로 달성한 것들

메이져대회 4회우승 (역대 3번째,저그 최초)
양대리그 우승 (역대 5번째,저그 최초)
온게임넷 로열로더 (역대 6번째,저그 2번째)
저그로 테란잡고 우승 (역대 3번째,온게임넷 2번째)
결승에서 세종족 모두를 상대로 우승경험 (역대 2번째,저그최초)
랭킹1위 고수
2월 먼슬리 MVP,2006 이얼리 MVP 확정


추가로 곰티비배 MSL도 우승할 경우 얻게될 커리어

메이져대회 5회 우승 (역대 3번째,저그 최초)
MSL 5연속 결승진출 (역대 최초,이미 달성)
MSL 4회우승 (역대 최초)
MSL 3연속 우승 (역대 3번째,저그 최초)
양대리그 동시 우승 (역대 2번째,저그 최초)

빠진것 있나요?
아무튼 마본좌의 곰티비배 MSL 우승을 기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8 11:36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가 저그의한을 제대로 풀어주네요~
달님지기☆Carpe
07/02/28 11:43
수정 아이콘
플토의 한은 누가 언제쯤....
양치질
07/02/28 11:45
수정 아이콘
커리어가 이제 참...
전 이번 우승하기 한참전에 '그는 이미 깨달았다'라고 생각했기에~
이번 우승이 큰일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특별한 감흥은 없네요 ㅇ_ㅇa
전 김택용선수의 대반란을 기원하겠습니다 ^_^
타인의하늘
07/02/28 11:45
수정 아이콘
다음시즌까지 이 포스 유지해서 할 수 있는건 다 '역대 최초'가 되길 바랍니다 :)
07/02/28 11:52
수정 아이콘
솔직히 김택용 선수가 이기든 지든 5판까지만 끌고간다면 충분히 차세대 대항마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양치질
07/02/28 11:56
수정 아이콘
저는 김택용선수측의 준비여하에 따라서 다르겠지만(경기력을 믿고
중도적인 운영을 들고 나오느냐 아니면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파격적인 운영을 들고 나오느냐)4경기 맵의 영향으로 5경기까지 갈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것 같아요.
원해랑
07/02/28 12:13
수정 아이콘
저기 태클은 아니구요... 양대리그 우승은 역대 5번째 아닌가요? 임요환, 이윤열, 강민, 최연성을 양대리그 우승자라고 알고 있어서요.
07/02/28 12:15
수정 아이콘
원해랑//맞네요.감사~
DynamicToss
07/02/28 12:33
수정 아이콘
플토의 한은 ..강민의 전략 박정석의 물량 마재윤의 운영 이윤열의 천재성 을 다 갖춘 플토게이머가 나타나야 가능할듯
07/02/28 14:13
수정 아이콘
플토 ㅠㅠ
07/02/28 14:32
수정 아이콘
거의다 저그최초가 많네요. 정말 저그의 한을 마재윤 선수가 다 풀어내는듯.
너른들녘
07/02/28 17:38
수정 아이콘
저그의 한은 이제 홍진호 선수만 남은듯 합니다..
07/02/28 18:37
수정 아이콘
저그의 한을 마재윤이 풀어주고 있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마재윤 선수 팬도 아닌데 온겜 우승할때 넘 감격스럽더군요. 팬이 된걸까요....;; 홍진호 선수는 저의 한을 좀 풀어주시길... 그대를 응원한게 몇년이야...
BluSkai-2ndMoon
07/02/28 19:20
수정 아이콘
곰티비 MSL 우승시, 단일대회 역사상 최초의 '1년간의 전시즌 석권' (프링글스1, 프링글스2, 곰티비)
임요환 선수가 2001년에 온게임넷에서 실패한 일에 도전하고 있죠.
(의외로 부각되지 않아서 어리둥절합니다.)
마이스타일
07/02/28 20:08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도 다시 전성기가 왔으면 하는 바램이..
팬이야
07/02/28 22:28
수정 아이콘
진짜.. 마재윤선수 너무 질 것 같지 않은 포스라 무덤덤했는데.. 요즘 방송경기보니.. 경외감마저 들 정도..
진짜 저그의 극에 달한 모습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606 [sylent의 B급칼럼] 스타리그가 지겨울 때 [28] sylent8337 07/07/26 8337 0
31604 최근 1년 전적으로 보는 10명의 저그들의 프로토스, 테란전 승률과 고정관념. [39] Leeka6681 07/07/26 6681 0
31603 듀얼토너먼트도 MSL 듀얼 방식이면 좋겠습니다. [32] 골든마우스!!6693 07/07/26 6693 0
31602 현재 듀토 패자전........ [76] SKY929349 07/07/25 9349 0
31601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예순일곱번째 이야기> [7] 창이♡4606 07/07/25 4606 0
31600 오늘 온게임넷 듀토...해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2] Frostbite.6948 07/07/25 6948 0
31599 프로리그의 가치와 팀간의 스토리.. [15] Leeka4980 07/07/25 4980 0
31598 서서히 기지개를 펴는 팬택 4인방. [10] Ace of Base5804 07/07/25 5804 0
31597 임요환 선수가 개인리그 불참을 선언했네요. [13] 戰國時代6536 07/07/25 6536 0
31596 '나'라는 놈이 프로리그를 보는 법... [5] 견우4247 07/07/25 4247 0
31594 다전제에서 가장 멋진 드라마를 쓰는.. 프로토스 오영종. [28] Leeka5389 07/07/25 5389 0
31593 어디서부터 그는 이렇게 된것인가? [13] SKY926738 07/07/24 6738 0
31592 방송사분들... 좀 도와주십시오.. [27] 라구요7493 07/07/24 7493 0
31591 차기시즌 시드권자 분석 1 - 곰TV MSL S3 6 ~ 10위 [6] 彌親男5034 07/07/24 5034 0
31590 스타크래프트의 현재 흐름에 대한 생각 [21] 카오스돋하4750 07/07/24 4750 0
31589 누가 팬텍EX를 스폰해 줄 것인가? [28] Fabolous5899 07/07/24 5899 0
31588 맵 벨런스. 개인의 극복과 종족의 극복. 그리고 변형태의 테저전. [14] Leeka5638 07/07/24 5638 0
31587 마재윤, 김준영 그리고 3해처리-하이브 운영 [43] Judas Pain10254 07/07/24 10254 0
31586 변형태 성장하다. [5] 히엔5732 07/07/24 5732 0
31585 방송사 그들이 맵으로 밸런스를 건들 자격이 있는가? [34] 독안룡5651 07/07/24 5651 0
31584 박정석, 강민 그리고 송병구와 투팩 [41] Judas Pain10390 07/07/24 10390 0
31583 분명하게 알겠다... [15] 까탈6072 07/07/24 6072 0
31581 프로리그 엔트리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33] 메렁탱크5331 07/07/23 533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