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2 02:14:13
Name 랩퍼친구똥퍼
Subject 별명은 여러가지로 갈라지다가 하나가 앞서가기도 합니다.
굳이 따질 필요없다고 봅니다.
어차피 몇몇선수들도 여러 별명이 있지만 특히 앞으로 달리는 별명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논쟁을 할필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윤열선수 : 천재, 머신, 토네이도테란, 수달 등 있지만 전부 불리기는 하지만 그 중에서 천재가 메인이 되었죠. 그 다음에 머신, 수달정도에 토네이도테란은 잘 사용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최연성선수 : 머슴, 치터테란, 괴물, 버스기사, 헐크(식신께서 밀었던...) 등이 있으나 조금 애매하긴하지만 괴물이 메인급이고 머슴은 이윤열선수와 붙을 때 머머전이 많이 사용되고 버스기사랑 치터테란은 잘 사용안된다고 생각하고 헐크는 사라졌다고 생각함.

강  민선수 : 꽃밭토스, 몽상가뿐 생각이 안나는군요. 하지만 꽃밭토스는 거의 잊혀졌고 몽상가가 남았죠.

마재윤선수 : 마에스트로, 마본좌, 마재앙, 마틀러, 마신 등 있는데 여기서도 메인급은 알아서 앞에 남고 나머지는 자연스레 가끔불리거나 사라지는것들도 있겠죠. 물론 많은 시간이 지났다면 지났지만 온겜의 시간이 너무 짧다고 생각합니다. 이후 양대리그를 계속우승한다면 마본좌가 마에스트로를 밀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임요환선수는 무슨 별명들이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윤열, 최연성, 강  민 선수들처럼 마재윤선수도 알아서 하나의 별명이 앞으로 달릴겁니다. 굳이 별명때문에 싸울필요도 없고 깔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별명은 그 선수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쏟아지는 보여지는 대목이라고도 생각합니다. 너무 강하기 때문에 하나로는 설명하기에 부족하기에 여러가지가 나오는것이라 생각하고 좋게 보시면 안되나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어느순간부터 온겜은 심하게 까이는 대상으로 보일정도로 심하게 까입니다. 물론 상관이 없을수도 있지만 그렇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뭐 많은 시도가 많은 풍파를 만나는게 당연할수도 있지만 심해보이기도 합니다.

안 좋은 일들도 있지만 그게 다 발전하고자 하는 노력아닐까요? 온겜 화이팅 더블어 엠겜 화이팅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뜨와에므와
07/02/22 02:24
수정 아이콘
별명 여러가지 인건 관심도의 표현이니 분명 좋은 거죠...
다양한 모습을 잘 표현해줄수만 있다면...
그러나 마신이란 별명은 참~ 상상력 빈곤한, 못지은 별명에 가까우니
더 욕보는 거겠죠...
信主NISSI
07/02/22 02:27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저보고 순진하다고 합니다. 멍청하다는 표현의 다른 뜻이겠죠...

그냥 순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세상의 어느일이든 속 생각이 없는 행위가 거의 없지만, 그럼에도 자세히 알면 없진 않지만 별거 아닌게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제 생각은 너무 순진한 것 같습니다.
07/02/22 02:31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는 로드 오브 드림, 꿈의 군주라는 별명도 있죠. 개인적으로 맘
에 들더군요.
간단하게 별명 하나, 둘만 있으면 이미지도 딱 그거로 고정되고 논란도
안 일어나서 편하던데 말이죠.
예를 들어 박정석선수는 영웅. 그리고 정석물량. 여기서 더 이상 변할것
도 없고 추가할것도 없이 고정되니까요.(까들이 깔려고 만든 말부커니 뭐
니는 패스.)
델마와루이스
07/02/22 02:43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니 강민 선수 별명만 해도, "몽상가"가 거의 절대적이던 시점에서 많이 변한것 같네요. 거듭되는 성전의 영향으로 지난 4강전 전까지는 "광통령"이란 별명이 더 익숙하게 와 닿았던 것 같아요. 심지어 김철민 캐스터도 방송에서 언급할 정도로....
이제 해설자 분들이 붙여주시는 별명보다 네티즌들 사이에서 창조되고, 재생산 되는 별명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THE FINAL
07/02/22 03:06
수정 아이콘
성전 설레발 탓도 있겠지만, 저는 강민 선수를 보면 광통령, 광렐루야부터 바로 떠오르네요.
몽상가라는 별명은, 언젠가 있었던 것 같긴 한데... 뭐 그냥 그 정도 존재감이랄까요.
윗분 말씀대로 시류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말이죠)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것이 별명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재윤 선수는 온겜쪽에서도 제발 그냥 마에스트로로 불러줬으면...
팬들에게 보여진 그동안의 이미지가 총집결되어 탄탄히 굳어진 별명인데, 그걸 왜 그리도 쉽게 뒤엎으려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569 테란에게도 재발견이 필요하다! [14] 신병국3974 07/02/25 3974 0
29568 이번 OSL에서 이슈가 된 선수들 [6] 하늘유령4533 07/02/25 4533 0
29567 테란의 대 저그전 궁극의 전략 [11] 준혁4040 07/02/25 4040 0
29566 김택용~~~ 대기적을 창출하라~~~~ [11] 처음느낌4483 07/02/25 4483 0
29565 무당저그?? [8] Jylovepz4210 07/02/25 4210 0
29564 본좌들과 일본3웅 [9] 2초의똥꾸멍4728 07/02/25 4728 0
29562 [알림] 결승전 주간 벌점 2배 적용 합니다. [22] homy4294 07/02/24 4294 0
29560 보는 내내 눈이 즐거웠습니다 [2] 제3의타이밍4082 07/02/25 4082 0
29558 보라!! 새시대가 열리는 모습을!!!!!! [4] 블러디샤인4420 07/02/25 4420 0
29557 길가다가 신한은행을 보면 설레이고 흐뭇해집니다. [11] van4023 07/02/25 4023 0
29556 마재윤 선수를 뚫어낼 수 있는 스타일은 무엇이 있을까? [79] 제로벨은내ideal7078 07/02/25 7078 0
29555 Battle in Zama Regia - 세기의 두 영웅 [6] 소현4252 07/02/25 4252 0
29552 엄재경 해설위원의 음악용어 언급 [23] 66v6673 07/02/24 6673 0
29551 프리스타일의 이윤열 선수는 어디로 갔죠? [21] chldustjd5523 07/02/24 5523 0
29550 결승전 오프 후기에요^^ [4] 파란토마토4552 07/02/24 4552 0
29549 이윤열 대 마재윤 결승전 오프 후기 [7] Rush본좌5169 07/02/24 5169 0
29548 결승전 후기(그리고 마재윤..) [16] hysterical5762 07/02/24 5762 0
29547 마재윤 선수는 정말 롱기누스에서 연습생 상대로 20%승률이 안나왔을까요? [22] 마르키아르8587 07/02/24 8587 0
29546 이윤열.. 이윤열.. 이윤열 [15] 문근영남편4978 07/02/24 4978 0
29544 짐이 곧 저그니라!! [2] bandit4005 07/02/24 4005 0
29543 마재윤선수 온게임넷 우승 축하드립니다 [2] 하늘바다5377 07/02/24 5377 0
29542 신한 마스터즈대회 맵을 예상해봅시다 [13] OASIS4322 07/02/24 4322 0
29541 저그도 사기다!~ [20] 사탕한봉지5302 07/02/24 530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