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2/21 18:26:06
Name sEekEr
Subject 짬짜면도 싫어 .
A와 B , 두 사람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자장면과 짬뽕을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어느날 어떠한 일로 모이게 된 이 두사람은 중국요리를 시켜먹게 됩니다.

헌데 한가지 일이 생겼습니다. A와 B가 가지고 있는 돈은 자장면과 짬뽕을 모두
시키기에는 부족한 돈이었기 때문이죠.. 그래서A와 B는 자장면을 시키느냐
짬뽕을 시키느냐를 놓고 말다툼을 하게 됩니다.

말다툼은 도대체 끝이 보이질 않습니다. A는 자장면을 먹고 싶고 B는 짬뽕을 먹고
싶으니 그럴 수 밖에요.. 이때 보다못한 제 3자인 C가 A와 B에게 짬짜면을 시켜먹는 것을
제안합니다. 생각해보면 아주 간단한 일이었죠. 그저 A와 B의 입장을 섞어서 음식을
시키면 됐으니까 말이죠..

하지만 이때 또하나의 문제가 생깁니다. C의 제안을 당연히 받아들일줄 알았던 A와 B는
모두 C의 제안을 거부하며 자신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시켜먹을 것을 더욱 강조합니다.
A와 B는 상대방이 왜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싫어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심지어 "어이없기"까지 합니다. 급기야 A와 B는 자신에게 동의하는 사람들을 찾아내어
싸움판을 더 크게 벌입니다. 이 싸움은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커지기 시작합니다..

여러분이 보시기에는 A와 B가 어떻게 보이십니까..? 미련해 보이시나요?
어리석어 보이시나요? 하지만 지극히 정상의 일입니다.적어도 인터넷상에서는요..
A와 B는 자신의 주장이 너무 강해서 다른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못한 것 뿐이거든요..
물론 서로의 주장을 어느정도 받아들여 짬짜면을 시켜먹었다면 싸움은 없었을 테지요..
하지만 인터넷상의 법칙으로 본다면 짬짜면을 시켜먹으면 안되지요...
인터넷상의 법칙으로는 무조건 자기 주장을 펼치고 상대방을 이겨야 하거든요..
상대방의 생각따윈 무시하고 짓눌러 줘야 우월감을 느끼거든요.....


다소 공격적인 말투 죄송합니다.


원래는 이글을 유게에다 써야 하는데 , 유게에다 올리면 이 글이 유머냐 아니냐를
놓고 논쟁이 벌어질까봐 어쩔 수 없이 PGR 게시판에 글을 올립니다.
따라서 PGR 게시판에는 맞지 않는 글이 될 수 있음으로 10분 이상 자삭요청을
해주실 시 자삭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운영진 분들이 삭제를 하셔도 불만은 없습니다.
윗 글에 반영되어 있는 제 생각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며 어떤 분에게도 강요하지
않습니다. 고로 이 글에 반대하는 리플을 올리셔도 달게 받아들이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보내세요 PGR 님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21 18:33
수정 아이콘
짬짜면은 양이 너무 적어서요. A와 B 둘다 이득이 아니라 둘다 손해를 보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둘다 시키는 거지만 그러기엔 돈이 없고, 짬짜면은 너무 양이 적고.. 뭐 답이 없죠-_-;;
06/12/21 18:34
수정 아이콘
으음, 글의 내용에는 솔직히 공감이 갑니다.
제가 열일곱의 나이로 세상을 보았을 때에도 비슷한 느낌이 들더군요.
꼭 세상이 저를 이렇게 가르치는 것만 같았어요.
"세상에는 오직 두 가지밖에 없다. 승자와 패자, 선과 악, 흑과 백. 그 가운데에는 아무것도 없지. 당장 너를 봐라. 시험에 붙고 안 붙고, 성적이 오르고 안 오르고, 두 가지밖에 없잖냐. 세상은 역시 두가지 뿐인 거다"라고 하는 것만 같았죠.
하지만 저는 알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중립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다만 일부 중립세력에 속한 사람들은 이솝 우화의 박쥐처럼 보일까봐 그 의견을 마음껏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도 어느 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여기 PGR에서도 대표적으로 종족논쟁(A종족과 B종족은 서로 사기다라고 주장하는 것)과 맵논쟁(테란맵이니 저그맵이니...)이 이런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을 "토론자"께서 어느 정도는 강요하는 것 같아 보였습니다.

리플이 좀 길어졌는데, 다소 씁쓸합니다.
언제쯤 되면 중립이라는 것을 인정해 줄 날이 올지 모르겠습니다.
극과 극... "일부분의" 어른들은 항상 극단적으로 가면 좋지 않다고 말해도, 정작 자신들이 보여주고 있는 모습이 극단적이라는 것은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서 "청소년"인 제가 보기에는 안쓰러울 따름입니다.


덧. 그런 저도 이분법적인 사고에 갇혀 있는 것만 같아서 두렵습니다.
06/12/21 18:50
수정 아이콘
얼추 동감되는 내용이네요
06/12/21 18:53
수정 아이콘
예전에 봤던 어떤 글이 문득 생각나네요... 어디 화장실에 써 있던 낙서라고 하는데...

"~같다 라는 말을 쓰는 것은 스스로를 회색분자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하니, 앞으로 쓰지 말아야 할 것 같다."
진리탐구자
06/12/21 19:05
수정 아이콘
소현님//제 소견으로는, '어떠한 관점을 가진다는 것'과 '여러 의견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사람은 각각 다른 입장에 처하며, 같은 입장에 있더라도 세상을 보는 관점이 다릅니다. 때문에 특정한 관점을 가지지 않은 인간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A의견과 B의견이 있으면 어떠한 인간이든지 완전한 중립을 유지한다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완전한 중립이라는 것은 사실 어떠한 가치도 지향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기계와 다를 바 없는 비인간적 특성이기 떄문입니다.

물론 '짜장면과 짬뽕 논쟁'처럼 상대방이 주장하는 바가 무엇이고 왜 상대방이 그런 것을 지향하는지 이해하려 애쓰는 것은 당연히 인간이 취해야 할 기본적인 태도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옳고 저것도 옳다, 혹은 이것도 저것도 각기 장단점 있다'는 식의 기계적 중립성을 견지하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볼 때 그 선의와는 다르게 무책임한 결과를 낳기 쉽습니다.
06/12/21 19:18
수정 아이콘
양시론도 양비론 못지 않은 논리적 오류입니다만... '중용'이 항상 양시론을 말하는 것은 아니죠. 확실히 변증법적인 접근은 좋은 결과를 낳는데, 사람들은 그걸 인정 안하려고 하는 경향이 크다는게 문제일뿐.
06/12/21 19:28
수정 아이콘
네.. 소현님과 AhnGoon님 , 진리탐구자님께서 제 생각을 잘 짚어주셨네요.. 요즘 PGR의 게시물들을 보면서 , 특히 설탕가루인형님의 글을 보면서 느끼는 것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 어떤글에서도 소모적 논쟁이 일어나며 , 서로의 의견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정말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논쟁은 서로를 발전 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중 하나죠.. 하지만 그 방향이 조금이라도 삐끗할 경우 단지 서로를 비난하는 것이 될 수 있는데... AhnGoon님 말씀처럼 서로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모습은 그만 봤으면 좋겠습니다..
마술피리
06/12/21 19:40
수정 아이콘
강준만은 인터넷을 인정투쟁의 장이라 했습니다. 자장면 반그릇, 짬뽕 반그릇을 내어준다는 것은 인정투쟁에 있어 절반의 성공이 아니라 절반의 실패이기 때문에, 강준만의 인식이 유효하다고 본다면, 인터넷의 짬짜면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희망의마지막
06/12/21 19:51
수정 아이콘
무조건 섞으려 했다가는 자장면 위에 짬뽕 국물을 엎어버리는 결과가 될지도 모르죠.(저라면 아예 안 먹습니다...)
짬짜면처럼 명확히 구분되어져서 넘어갈 수 있는 문제도 있겠습니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서로 모순되어 충돌할 수 밖에 없음에도, 이 둘을 억지로 한 그릇 안에 밀어넣는 것 역시 심각한 문제가 되곤 합니다.
무조건 상대방의 말을 무시하고 억누르는 것은 당연히 잘못된 일입니다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분도 분명히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어쩔 수 없는 일이랄까요. 이런 필연적인 부분을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가 중요한 문제 같습니다...
먹고살기힘들
06/12/21 20:00
수정 아이콘
짬짜면처럼 두가지의 특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절충안이 미리 만들어져 있다면 아마도 대부분은 그 방향으로 나아갈 것 같습니다만...
그런 완벽에 가까운 절충안을 만드는게 힘드니 소모적인 논쟁이 펼쳐지는 것이지요.
06/12/21 21:22
수정 아이콘
두 사람이 짬짜면 한그릇 시키면 반점 주인은 싫어합니다-;
개그하는 분위기는 아닌가 -;
그냥스타팬
06/12/21 22:07
수정 아이콘
짬짜면은 절충이아니라 양립이죠. 짜장도 있고 짬뽕도 있고 그런거죠. 이문제는 돈 더벌어서 짬뽕하나 짜장하나를 시키면 됩니다. 그런데 짬뽕하나 짜장하나 시키는 돈보다 짬짜면 두그릇 시키면 돈이 더든다는거
Alchemist
06/12/21 23:24
수정 아이콘
정말 적절한 비유군요,, 제 생각에는 피지알 게시판에 쓰는 것이 당연한 것 같은 좋은 글인 것 같네요,,
레지엔
06/12/21 23:50
수정 아이콘
자주 벌어지는 소모적인 논쟁은 짬뽕-짜장면일지 모르지만 의외로 많은 토론은 짜장면과 개밥 논쟁입니다. 글 쓰신 분이 의도하는 바는 충분히 공감가고 또한 수긍해야될 자세입니다만, 오히려 토론이 일반적이지 않고 토론 문화, 토론에 대한 자세를 배운 적도 없고 가져본 적도 없는 한국에서 (소모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토론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은 오히려 위험한 논리이지 않을까요.

그리고 원래 토론은 극단적이고 이분법적입니다. 중용과 합의점은 토론이 아니라 토의에서 찾아야죠. 논쟁이 말싸움이 되지 않도록 하는 선에서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게 토론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설사 소모적일지어도 주제가 글러먹은게 아니라면 토론 그 자체로도 많은 걸 얻을 수 있습니다.
폭주유모차
06/12/22 00:37
수정 아이콘
레지엔//하지만 현재 웹상의 토론은 얻는거 보단 잃는게 훨씬 많다고
보여집니다. (갖은소리를 다듣죠...개념이 있니없니....뇌는 머리에 있니....등등 자신과 의견이 갖지않는사람들은 무조건 적으로 보는 우리 네티즌들....얼굴맞대고 하지 않는이상은.....)
레지엔
06/12/22 00:43
수정 아이콘
폭주유모차님// 검열제가 제대로 안되는 포털사이트야 그렇습니다만 PGR정도만 되어도 어느 정도 토론의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가끔 유게에다가 유머 아닌 거 올려놓고 리플로 유머가 뭐냐고 따지는 사람들 빼고요-_-
조아조아
06/12/22 01:56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모든 논쟁이나 다툼은..
직접 얼굴을 맞대고 있지 않아서 생기는 것인듯 합니다..
얼굴을 마주보고 있지 않으니 상대방의 생각이나 반응조차도 자기 머릿속에서 한번 Processing해서 받아들이니까요..

넷상에서 벌어지는 논쟁들중 많은 부분을 탁상으로 그대로 가져와서 토론해보라고 하면 토론거리도 안되는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WizardMo진종
06/12/22 05:49
수정 아이콘
애초에 짬짜면 먹을사람이면 싸움도 안벌였으듯;;
06/12/22 10:23
수정 아이콘
좋은글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462 pgr21 여러분들에게 하고싶은말 [6] 그래서그대는4230 07/01/07 4230 0
28461 [결승전 응원] CJ ENTUS, 가장 위대한 하나 [43] jgooon4602 07/01/07 4602 0
28460 가상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 그 첫 번째 이야기. [1] 평균APM5145533 07/01/07 5533 0
28459 [연재] E-sports, 망하는가? #6.5.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 팬의 수 - 3.5 [13] Daydreamer5905 07/01/06 5905 0
28458 개인적으로 꼽은 2006년 E-Sports 10대 사건들(2) - 창단, 그리고 과제들. [1] The Siria5409 07/01/06 5409 0
28456 [연재]Daydreamer - 13. 이방인(1) kama5980 07/01/06 5980 0
28455 내일 프로리그 결승전 엔트리을 예측해보자 [18] 그래서그대는5516 07/01/06 5516 0
28454 [잡담]위대한 유산 74434... [6] 스탈라임4407 07/01/06 4407 0
28453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결승전 관전포인트 [4] Altair~★5176 07/01/06 5176 0
28452 진호야, 스타 좋아하니? [27] coolpia5854 07/01/06 5854 0
28448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 [9] The Siria6127 07/01/06 6127 0
28447 누나에서 선배로..선배에서 너로... [19] 사랑해정말5753 07/01/06 5753 0
28445 100일 휴가를 나왔습니다.. [2] 황제의마린5214 07/01/06 5214 0
28444 어제 마재윤선수 경기 간략한 분석 및 평가.. [11] hi4837 07/01/06 4837 0
28443 후기리그 분석②-CJ Entus [11] EzMura5944 07/01/06 5944 0
28442 그분이 너무 그리운 오늘... [11] 악마는프로브4197 07/01/06 4197 0
28441 마본좌의 어제경기는 실로 훌륭했습니다. [117] 고인돌7353 07/01/06 7353 0
28440 CEG2006 서안(西安) 워크래프트3부문 이틀째 8강 진행중! [48] 지포스25325 07/01/06 5325 0
28438 새해인사드려요 pgr21 후로리그입니다 [2] 쉰들러4447 07/01/06 4447 0
28436 A라고 말한 것 과 B라고 말한 것 [5] Supreme4327 07/01/06 4327 0
28435 도토리빵.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나.. [22] Zwei8211 07/01/06 8211 0
28434 [잡담] 안녕하십니까? [4] My name is J4799 07/01/06 4799 0
28433 신한은행 스타리그 3rd Season 24강 6회차 - 시청후기 [24] DNA Killer5418 07/01/06 54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