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2/07 18:21:17
Name AhnGoon
Subject [잡담] 게임머니 현거래에 대한 단상...
아래 글에 댓글로 달기에는 왠지 내용이 자꾸만 빗나가서, 이 무거운 write 버튼을 눌러봅니다...

현거래에 관계된 중게사이트, 작업장 등등이 가장 원하는게 있다면, 게임 내의 아이템에 대한 유저의 소유권을 인정해 주는 법이 제정되는 것일 겁니다. 그러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오히려 반대로 가고 있죠. 이번에 상정된 법안을 봐도, 게임 내의 게임머니의 현금 판매는 불법으로 하자는 쪽이니까요.

게임 아이템에 대한 소유권은 현재 게임 제작사에게 있습니다. 게임 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데이터'들의 소유는 전적으로 제작사에게 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 유저는 어떤 권리도 주장할 수 없게 되어있죠. 현거래를 옹호하는 사람들의 불만은 여기서 시작됩니다. 현거래가 이루어졌는데, 갑자기 시세가 바뀐다던지, 어떤 버그에 의해서 아이템이 사라졌을 때, 이 부분에 대한 손해를 보상받을 길이 없다는 것이죠.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극장에서 영화를 상영하는데, 영화가 너무 인기가 좋아서 연일 매진이 됩니다. 그런데, 누군가는 꼭 오늘 그 영화를 봐야만 하겠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아마도 암표상을 통해 암표를 구하거나, 이미 그 영화 표를 구한 사람에게 웃돈을 주고 그 표를 사거나 하겠죠.

영화 컨텐츠 자체는 재화에 속하지만, 영화를 방영하는 것은 서비스입니다. 게임 역시 서비스지요. 제가 보기에는 영화 표, 즉, 극장의 좌석은 게임의 아이템에 해당합니다. 만약, 영화 표의 의미가 극장 좌석에 대한 소유권(물론 그 영화가 방영되는 중에만 해당되겠지요?)이라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를 들어서, 극장의 사정으로 인해 - 영사기가 고장났거나, 건물에 화재가 났거나 - 영화 방영을 못하는 상황이 왔다고 칩시다. 그런 경우 극장 입장에서는 관객들에게 영화 표값만 환불해 주면 됩니다. 하지만, 소유권을 인정한다면, 암표를 산 사람들에게는 암표 값으로 치뤄줘야겠죠? 그게 실질 가치이니까요.

게임에서 아이템이나 캐릭터의 레벨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을 기회비용으로 따져서 그 가치를 인정해줘야만 한다면, 그건, 연일 매진되는 극장 표를 구하기 위해 새벽부터 줄을 서서 기다린 노력을 표 값에 반영시켜줘야 한다는 말과 같을겁니다. 그래서, 암표상은 여전히 법으로 인정되지 않는겁니다.

게임 컨텐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에 온라인 게임 서버에 문제가 생겨서 유저들이 접속을 못하는 경우가 생겼다면, 게임 회사 입장에서는 그 시간 만큼의 사용료(정액제 게임의 경우)를 변상하면 됩니다. 그런데, 만약 어떤 유저는 하루 평균, 현금 가치로 따져서, 5만원 어치의 아이템을 구할 수 있다고 합시다. 그럼 이 유저에게는 하루동안 게임을 할 수 없었으니, 5만원을 배상해야 할까요?

게임 현거래 시장은, 말하자면 암시장입니다. 암시장은 정부가 간섭할 수 없는 시장이고, 이 곳에서 이뤄지는 거래들은 사실상 불법입니다. 하지만, 그 암시장이 사회에 크게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도에서는 어느 정도는 묵인합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예를 든 암표상이나(극장, 스포츠 경기 등), 골프장 회원권 전매 등의 경우는 사실상 묵인해주죠. 하지만, 마약이나 무기, 분양권 전매 같은 경우에는 단속합니다. 간섭이 아니라 단속이죠.

저는, 지금 현재로서도 현거래는 불법입니다만, 그 사회적 파장이 아직 크지 않다고 판단되기에 묵인하고 있었다고 봅니다. 그런데 그게 슬슬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기 시작하니까 법률적인 제제를 가하고자 하는거죠. 지금은 조용한 편이지만, 아마도 게임 시장을 뒤흔들 일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앞으로 출시될 게임들에 대한 파장도 분명히 있을거구요. 결론이 어떻게 나건 간에, 한 때 게임회사에 몸을 담았었던 한 사람으로서, 우리나라 게임업계가 공멸하는건 별로 보고 싶지는 않습니다. 뭔가 건전한 방향으로 이 일이 진행되었으면 하는게 제 작은 바람입니다.

P.S: 비유가 빈약해서 죄송합니다. 필력이 너무 딸리는군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팬이야
06/12/07 18:32
수정 아이콘
저도 현거래에 대해 매우 부정적입니다.
하지만 온라인게임을 하다 보면.. 안하는 사람이 바보가 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정말 답답합니다.
율리우스 카이
06/12/07 19:39
수정 아이콘
좋은 비유인듯... 가끔 연인과의 즐거운 데이트나, 중요한 경기를 보기 위한 웃돈준 암표구입. 혹은, 피치못하게 공연을 못보게 된 사람이 표를 판다던가, 하는 느낌의 아이템 현거래는 충분히 긍정적이며, 굳이 단속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게임을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를 돈이 벌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현거래는 ... 그건 없어져야겠죠.
06/12/07 20:21
수정 아이콘
저는 온라인게임을 안해서 그런지 왜 아이템을 돈주고 사는건지 이해가 안되더군요. 정작 하는 사람은 해보면 안다고들 하는데. 막상 해보려고 하면 한두시간 하면 내가 이짓을 왜하고 있나 싶어서 접게 되더라구요.
뒷산신령
06/12/07 22:57
수정 아이콘
Daydew님//
자기들만의 취미생활이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sway with me
06/12/08 16:23
수정 아이콘
비유가 빈약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걸요.
매우 적절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016 역대 양대리그 4강 진출횟수 + (신한Season3 & 곰 TV) [27] 몽상가저그5556 07/03/11 5556 0
30015 [PT4] 오늘 방송 할 1차 본선 경기 순서 입니다. (방송 종료) [6] kimbilly4442 07/03/10 4442 0
30013 이스포츠 팬으로서 살아가기 .. [24] 4375 07/03/10 4375 0
30012 [추리소설] 협회와 IEG는 중계권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를 했을까? [33] 스갤칼럼가6400 07/03/10 6400 0
30011 E-Sports의 4대요소 순환구도 [3] Askesis4283 07/03/10 4283 0
30010 [알림] 규정을 준수 하여 주세요. [10] homy4529 07/03/09 4529 0
30009 전 장기적 관점으로도 방송국 중심의 체제가 맞는 것 같습니다. [58] OrBef6924 07/03/10 6924 0
30008 언론계에 몸 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5] paramita4871 07/03/10 4871 0
30006 그때랑 지금이랑 뭐가 다르길래...? [10] 허저비4298 07/03/10 4298 0
30005 이번 사태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7] 그냥스타팬4441 07/03/10 4441 0
30003 케스파컵 첫째날 풍경(스갤 펌) [13] 아유7199 07/03/10 7199 0
30002 팀리그가 좋은이유. 협회가 싫은 이유. [4] S&S FELIX6090 07/03/10 6090 0
30001 참 서럽습니다. [8] DeaDBirD4304 07/03/10 4304 0
30000 정말 협회가 파워게임에서 승리했을까요? [6] 파에톤4573 07/03/10 4573 0
29999 오늘 케스파 보면서 느낀것 더하기 협회에 대해 하고 싶은 말... [2] 자유로운4487 07/03/10 4487 0
29998 대학생들은 스타를 안본다? [27] [군][임]5816 07/03/10 5816 0
29997 E-Sport가 무너진다면, 게임계의 미래도 없다고 봅니다. [7] The xian4696 07/03/10 4696 0
29994 제 2 회 KESPA CUP 관람 후기 & 사진. [12] StaR-SeeKeR7155 07/03/09 7155 0
29991 이것이 바로 팀배틀의 묘미!!! [13] SKY925684 07/03/09 5684 0
29990 약간 지난 이시점에서 짚고 넘어갈 것 : 협회의 언론장악 [10] 카알3732 07/03/09 3732 0
29989 시청자들은 지금 당장의 양질의 게임방송을 원한다. [7] 아유4002 07/03/09 4002 0
29988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 [11] 화랑^^;;4189 07/03/09 4189 0
29987 왜 온게임넷, 엠비씨게임 이어야 하는지 절실히 느껴지는 하루 [19] 옴므파탈6287 07/03/09 628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