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9/17 22:17:59
Name 백야
Subject 등장만큼이나 퇴장도 중요하다.
*쓰기 편하게 반말투로 갑니다. 양해바랍니다.



세상에 모든 것이 그러하듯 짧은 지식으로나마 스타리그를 지켜보자면


'맵에게도 복이란 것이 있구나'하는 사실을 느낀다.


이 사실을 가장 처음 느끼게 해준 맵은 노스텔지아, 두번째 맵은 머큐리인데


노스텔지아의 경우, 그 퇴장 타이밍이 굉장히 아슬아슬하게 잘맞아떨어진 케이스고

머큐리는 그 정반대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온게임넷이 내세울 수 있는 명맵 중 첫손에 꼽히는 노스텔지아는 사실 막판 밸런스가 '무너지기 직전'이었다. 오랜 세월동안 쓰인 맵이 그정도 유지해왔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높이 평가할만 하지만 어쨌든 그 시기엔 분명히 한계가 왔었다. 다른 종족전은 몰라도 프저전만큼은 그랬다.

하지만 절묘한 타이밍에 노스텔지아는 퇴장했고 노스텔지아는 지금도 온게임넷 출신의 명맵으로 그 이름이 높다.


자, 반대로 머큐리는 어땠는가?

사실 머큐리는 처음부터 그런 굉장한 비난을 받던 맵은 아니다. 지금에 와서 총전적을 결산해도 프저전을 제외한 다른 종족전은 그럭저럭 양호한 편. 하지만 바로 그 프저전이 문제였다.

프저전 밸런스에 대해 이야기가 슬금슬금 기어나왔던 시기는 이 맵이 처음쓰였던 질레트배(사실 질레트배 때도 프로토스가 좋은 맵이라고 하진 않았다.)가 아니라 에버2004 전,후인(에버2004 이전의 예선,듀얼부터 슬슬)데 만약 딱 질레트배까지만 쓰고 퇴장했더라면  지금에 와서 듣고 있는 비판,비난의 절반정도는 줄지 않았을까 싶다. 그랬다면 에버2004 4강 최연성 vs 박정석 1,5경기, 3,4위전 박정석 vs 홍진호5경기 같은 명경기가 나오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지만. 이 맵은 결국 에버2004 이후의 듀얼에까지 쓰이면서 '역사상 최악의 플토죽이기 맵'이라는 오명을 쓰고 쓸쓸히 퇴장했다.


누가 이야기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공식맵이 수명을 다했을 때는 바로 '맵의 정체가 만천하에 드러난 순간'이라고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선수 각자의 해석으로 경기가 나오는 것이라 '틀림없는 하나의 명확한 정답이 존재하는 시기' 바로 그런 순간이 왔을 때.


아무리 해석해도 또다른 엉뚱한 해석이 존재하는 공식맵이 등장한다면야 그 얼마나 반갑고 좋은 일이겠냐만은 사실 아직 그런 맵이 있다는 사실은 들어본적이 없는 관계로 지금 쓰이고 있는 '한계가 보이는 맵'들을 어느 시기까지 쓰고, 어느 시기에 퇴장시키는가에 대해 이야기할 뿐이다. '수정'이란 방법도 있긴 있지만 이 '수정'이란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니  패스.
(수정 이후 무자비한 스코어를 선사해주시는 아카디아2를 보니 수정이란 참으로 양날의 검이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음)


어쨌든 아무리 재미있는 개그라도 퇴장 타이밍을 놓치면 재미가 없고, 아무리 훌륭한 드라마라도 종영 타이밍을 잘못잡으면 남는건 비난,비판인 것과 아마 크게 다를 점은 없을 것인데 종영타이밍 놓친 인기 드라마는 그나마 비판,비난을 받아도 광고료와 시청률이 남지만 퇴장 타이밍 놓친 공식맵엔 욕 밖에 안남는게 없으니 참으로 '맵퍼란 힘든 직업이구나'라는 사실을 새삼 느낀다.


아무튼 아마 지금까지도 그래왔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지만 양방송사 관계자 분들께 좋은 맵을 언제 어떻게 만들어 투입시키는가에 신경쓰는 만큼 해당 맵의 퇴장 타이밍을 언제로 잡을 것인가에도 신경써주길 바랄 따름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o에코o
06/09/17 22:22
수정 아이콘
러쉬아워도 한시즌 일찍 퇴장시키면 어땠을까 싶네요. 815 3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공감이 가는 글입니다 ^^ 다른글에도 써놨지만 구백두대간 정도가 아닌이상 수정은 이제 안했으면;;;(좋은 예 : 815)
06/09/17 22:23
수정 아이콘
머큐리의 경우에는 메이져리그보다도 듀얼토너먼트에서 악명을 떨친 케이스가 더 유명하죠.

당시 듀얼토너먼트 최종전에 배치된 맵이 머큐리였는데 우연히도 거기서 프로토스들이 다 최종진출전에 갔었고 거기서 공교롭게도 최종전 머큐리에서 다 저그들을 만났으며 올킬을 당했습니다....

그 때문에 더욱 더 원성이 높아졌죠...
벨로시렙터
06/09/17 22:23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리그 중간에 맵을 내릴수도 없는것이니까요...

정말 아카디아 같은경우엔 7:0까진 어찌어찌 봐주려 했건만. 10:0은 정말 희대의 스코어 같습니다.
o에코o
06/09/17 22:26
수정 아이콘
Nerion//듀얼 시스템과 맵의 불균형이 만들어낸 참사라고 생각;;
그당시 심지어는 해설자들이 패자부활때 박성준선수(저그)가 이기자 해설자들도 탄식을 했다는...;
06/09/17 22:26
수정 아이콘
결국 그 때의 듀얼토너먼트 머큐리 사건으로 인해 최종전 맵 배치를 바꾼 해프닝이 있었다는...
나두미키
06/09/18 12:20
수정 아이콘
아카디아2의 테저전 점수가 어디까지 갈지 궁금할 따름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897 [sylent의 B급토크] 내가 임요환에게 기대한 것 [52] sylent7912 06/09/26 7912 0
25895 흔들리는 신화, 새롭게 쓰이는 전설 [42] 김연우8320 06/09/25 8320 0
25891 드랍쉽의 재발견은 테란에게 새로운 해법이 될수있을까? [18] SEIJI7208 06/09/25 7208 0
25890 [L.O.T.의 쉬어가기] Never Ending BoxeR.. [11] Love.of.Tears.6240 06/09/25 6240 0
25889 KTF에 부진 해답은? [58] 그래서그대는5344 06/09/25 5344 0
25888 KTF의 부진 해결책으로 정녕 신인발굴이 필수일까요? [46] 김호철5241 06/09/25 5241 0
25886 괜찮습니다 KTF [19] 스타대왕4309 06/09/25 4309 0
25883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일곱번째 이야기> [11] 창이♡4402 06/09/25 4402 0
25882 임요환의 전략.. 멋졌습니다. [108] 초록나무그늘9758 06/09/25 9758 0
25881 SKT T1 VS KTF 엔트리!!(임요환선수 출전!) [565] SKY9210980 06/09/25 10980 0
25879 TV시청기-무한도전 [26] 그를믿습니다4565 06/09/25 4565 0
25878 [PHOTO]제 닉네임은 이런 이유입니다. [28] 오렌지포인트4314 06/09/25 4314 0
25877 임요환은 마재윤을 이길 수 있을까 [39] Lunatic Love7343 06/09/25 7343 0
25876 이주영 선수와 변형태 선수의 싸인회~ [17] StaR-SeeKeR6025 06/09/24 6025 0
25874 아무리 홍보가 중요해도 '마지막'이라는 표현은 자제했으면 좋겠습니다. [19] 김주인6929 06/09/24 6929 0
25873 안녕하세요 Pgr21 후로리그입니다. [25] SaRa4790 06/09/23 4790 0
25871 2년전 그때 처럼 [13] 그래서그대는4270 06/09/24 4270 0
25870 르까프 오즈 vs 이네이쳐 탑 엔트리~ [183] 체념토스6061 06/09/24 6061 0
25867 T·Z·P 협회랭킹 상위 8인 최근 전적&승률 정리 [31] 리키안5597 06/09/24 5597 0
25865 Good bye ~ No. 62 [5] Ace of Base4155 06/09/24 4155 0
25864 '조진락' , '변태준' 을 이을 저그 삼총사는..? [110] sEekEr7695 06/09/24 7695 0
25863 한빛-mbc게임 엔트리나왓네요~ [751] 서녀비8477 06/09/24 8477 0
25862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여섯번째 이야기> [15] 창이♡4242 06/09/24 424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