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6/21 18:14:24
Name kama
Subject The New Legend
  인생이 그러하듯 모든 스포츠에서 승부를 결정하는 것은 한 순간이다. 하지만 그 중에
서도 정말 찰나에 가까운 순간에 모든 것을 거는 종목이 있다. 칼끝과 칼끝이 교차하며
눈앞으로 올렸던 팔을 힘껏 내딛는 다리와 함께 뻗는 순간에 승부가 결정 나는 스포츠.
그래서 이 운동을 하는 선수들은 누구보다 강한 집중력과 빠른 움직임을 가져야 한다.
그것이 펜싱이다.

  펜싱[Fencing]. 로마 시대을 걸쳐 중세 기사에게로 전해진 검술로 원래는 두꺼운 검을
이용했으나 중세 기사시대의 종막을 알리는 화약의 발전으로 두꺼운 갑옷이 사라지면서
크고 무거운 검을 쓸 이유가 사라지자 날카로우며 긴 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현재의 펜싱의 근원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18세기 이후부터 스포츠로서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그 형식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빠르기다. 서로 검을 마주 댄다. 그리고
상대를 찌른다. 이 간단한 동작을 위해 많은 페인트가 이뤄지고 공세와 방어의 무수한
교차가 이뤄지지만 결국 승패를 가르는 것은 누가 자신의 동작을 더 간결하고 깔끔하게
만들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상대의 틈을 찌르냐는 문제다. 그래서 그들은 그 누구보다
날카로운 손놀림과 빠른 움직임을 지니고 있다.

  더 빠르게, 더 날카롭게.

  한동욱의 전투가 이러하다.

=====================================================

  최강이 누군가, 혹은 무엇인가. 인간의 본능 속에 존재한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질문.
그런 질문에 대답은 되지 못하더라도 사람은 끊임없이 싸움을 계속해왔으며 현재는 이종
격투기라는 하나의 스포츠로 그 욕망을 채우고자 하고 있다. 물론 아무도 어느 유파가
최강이라 말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적어도 상대로 하여금 다시 만나기 싫다고 생각하게
하는 격투기가 있다. 그것이 레슬링이다.

  레슬링[Wrestling].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그 후 그리스 문명
에서 화려한 전성기를 맞았고 중세 기사들에게로 전파, 결국 현재는 하나의 스포츠, 하나
의 격투기로 자리를 잡은 격투기. ‘맞붙어서 싸우다’라는 어원을 지닌 만큼 주먹으로
치거나 발로 차는 것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 힘과 힘의 충돌, 누가 더 힘이 세냐는 순수한
겨루기. 상대에게 달라붙어 잡고 넘어트린다. 단조롭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아무도 그들을
얕잡아 보지 못한다. 열심히 주먹을 날려도 그들은 단단한 몸으로 버티면서 조금씩 옥죄
여 오고 무궁한 체력으로 오히려 상대를 지치게 한다. 그리고 그런 상대를 무너트리고
눌러버린다. 화끈하고 통쾌하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마무리. 그래서 이들은 그 누구보다
단단한 근육과 강한 힘을 지니고 있다.

  더 강하게, 더 단단하게.

  조용호의 운영이 이러하다.

=====================================================

  예측은 가능하나 확언은 불가능하다. 맵의 유불리도, 종족의 상성도 모두 무시되는 장소
가 아니었는가. 다만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실은 새로운 전설이 탄생하는 순간이 될
것이라는, 단 하나의 사실 뿐이다.

=====================================================



  ......그냥 스타 팬들에게는 최고의 축제 중 하나인 스타리그 결승전이 목전에 왔음에도
별 다른 말이 없길래 끄적여 봤습니다. 월드컵이 세계인의 축제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
다고 PgR까지 너무 조용해서는 안되겠죠;;(뭐 내일 정도 되면 충분히 달아오르겠지만요)
한동욱 선수, 조용호 선수. 누구 하나 딱히 응원하는 선수는 없지만(둘 다 좋아요~!!) 적어
도 자신에게, 상대에게 후회없는 한 판 부탁드립니다.



  P.s) 쓸데없는 말이지만 월드컵의 여파로 Daydreamer는 좀 더 늦춰질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이스트
06/06/21 19:17
수정 아이콘
하핫 결승 엄청 기대하고 있습니다.

단지..결승 장소에 사람이 적을까봐 살짝 걱정이 되는군요.
비도 온다고 하고.. 늦은 시각이라 말이죠. !!


명경기만을 바랄뿐.
My name is J
06/06/21 19:51
수정 아이콘
갈까...하다가
날이 좋으면 사람에 치여서 죽을지도 모르고
날이 궂으면 그거대로 괴로워서...친구네집에서 같이 보기로 했읍지요. 앗흥-

여튼 두 선수 모두 화이팅!
사라만다
06/06/21 23:36
수정 아이콘
웬지 생각보다 관중이 적을것같은 이 불안감이란....
프로브무빙샷
06/06/22 00:05
수정 아이콘
이번 결승은 msl과 연동해서 봐야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저그의 양대 산맥이 각각
타종족의 저그킬러들과 결승에서 격돌!!
msl에서 강민 선수가 올라온다는 가정을 해야할 듯..
하여튼 요즘 일어나고 있는 저그의 대세화가 저그의 양대 산맥의 양대리그 동시 석권이라는 결과로 정점에 이를지가 ....중요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세이시로
06/06/22 00:06
수정 아이콘
위아래 글에 묻혀 조회수나 댓글이 적은 거 같네요 좋은 글인데^^;
한국-프랑스전이 스위스-토고전보다 시청률이 낮았듯이 이번 결승전도 사람이 그리 모이지 않는다 해도... 우리 팬들에게는 즐거운 축제 아닐까요? ^^
낭만토스
06/06/22 00:13
수정 아이콘
정말... 이번 결승전을 놓고 친구들과 내기를 하는데 정말 어디다 걸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팽팽합니다. 정말 볼만한 결승전이 될것 같습니다.
Peppermint
06/06/22 12:28
수정 아이콘
정말 멋진 글이네요.
테란 대 저그, 그 숙명의 역사에 길이남을 명승부를 기대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118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열세번째 이야기> [9] 창이♡4061 06/10/05 4061 0
26117 함께 쓰는 E-Sports사(3) - 손오공 프렌즈 세가. [20] The Siria5723 06/10/05 5723 0
26115 [Kmc의 험악한 입담] 24강 [38] Ntka5903 06/10/05 5903 0
26114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먹더라는......... [10] 주먹들어가는 4571 06/10/05 4571 0
26113 [잡담] 그냥 그런 이야기. [8] My name is J4194 06/10/05 4194 0
26112 <리뷰> Return Of The Sprit Protoss : 경기분석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3주차 MBC게임 VS 삼성칸 4세트] [13] Nerion4427 06/10/05 4427 0
26111 마재윤에 열광할수밖에 없는이유‥1 [30] 그래서그대는5405 06/10/04 5405 0
26110 임요환선수의 승리를바랬던 임요환선수의 팬이 [2] 베컴4565 06/10/04 4565 0
26109 새삼 전상욱 선수가 대단해 보이네요 -_- (vs마재윤) [48] 미야모토_무사7037 06/10/04 7037 0
26108 [L.O.T.의 쉬어가기] 지금부터 영원까지... 2 [2] Love.of.Tears.6055 06/10/04 6055 0
26107 홍진호 홍진호 홍진호!!! [9] 영혼을위한술4446 06/10/04 4446 0
26106 [L.O.T.의 쉬어가기] 당신을 향한 기다림은 행복입니다.. [1] Love.of.Tears.4819 06/10/04 4819 0
26105 마재윤선수의 게임이 재미없다는 평을 받는이유.. [77] 지니-_-V6895 06/10/04 6895 0
26104 같은말 다른해석. [16] 대세는 저그다!5084 06/10/04 5084 0
26103 제가 본 임요환 0:3 패배의 이유. [10] 잠언5974 06/10/04 5974 0
26102 [잡담]제로의영역의 마재윤 [36] 못된놈5634 06/10/04 5634 0
26101 신한은행 스타리그....... 3차전이냐? 아니면 씁쓸한 추석을 지내러 고향으로 가느냐!! [335] SKY925080 06/10/04 5080 0
26100 살아간다는것... ... [4] 사나3816 06/10/04 3816 0
26099 진압된 반란, 대장 박대만 [6] 세이시로4437 06/10/04 4437 0
26098 영재 시대여 오라! [14] d-_-b증스기질롯4297 06/10/04 4297 0
26097 스타크래프트의 논쟁,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가져야할 자세. [4] 김연우26193 06/10/04 6193 0
26096 홍진호에게는 운영이 필요하다 [5] 그래서그대는4561 06/10/04 4561 0
26094 인간 최고의 명장 임요환, 저그의 괴물 마재윤 [15] 플토시대5303 06/10/04 53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