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4/17 13:44:59
Name 비타민C
Subject "웹2.0" 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
http://news.naver.com/hotissue/ranking_read.php?section_id=105&ranking_type=popular_day&office_id=092&article_id=0000008143&date=20060417&seq=7

기사에 따르면 어떤식으로든 사용자가 웹 2.0을 접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모든 포털이 웹2.0 을 기획하고 있다고 하니 말이죠.

웹2.0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 보니 어떤식으로 구현되는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는 전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체제를 1.0 이상 2.0이하의 버젼으로 본다면 1점대가 아닌 2점대로의 버젼업은 분명 뭔가 큰 변화가 있을것이라 예상됩니다.

별 관심없는 사이트가 하나 더 생기는 수준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사용자 환경이 변화 할것 같습니다.

기사에서도 그런 느낌을 많이 풍기고요.

웹에 관련된 일을 배우시거나 현재 하고 계시는분들도 상당히 흥미롭고 잘 예측해야 하는 문제중 하나일겁니다.

웹2.0이 사용자들의 호응도를 확실히 이끌어내면 대부분의 포털사이트가 웹2.0일 기반으로 운영되어질테니까요.

이것에 대한 많은 정보 공유 했으면 좋겠네요^ㅡ^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4/17 13:57
수정 아이콘
태우s'log( twlog.net/wp/ )

웹 2.0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는 곳중의 하나입니다
삽마스터
06/04/17 14:05
수정 아이콘
준이님이 올려주신 링크는 매우 재밌네요
zdnet.co.kr 에 웹 2.0 관한 기사들이 많이 올라오던데
한번쯤 읽어 보는것도 좋을 것 같네요.
그리고
06/04/17 14:06
수정 아이콘
웹2.0 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요즘 검색엔진에서 검색 창에 검색어를 치고있을 때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단어들을 아래로 보여주는 AJAX 기술 같은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저도 잘은 모르지만.. 사용자가 정보에 다가가기 전에 미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자 웹2.0의 목표인 것 같습니다.
ShadowChaser
06/04/17 14:15
수정 아이콘
web 2.0이라는 것은 하나의 트렌드에 불과합니다. 어쩌면 우리가 웹 2.0에대해 과대평가하고 있을런지도 모르구요. 해외의 유수의 사이트 들이 우리나라의 웹 사이트들을 벤치마킹을 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세이클럽은 99년도 부터 ajax 보다 더 한것들을 해왔습니다. hidden form ->hidden applet->hidden activex 를 통한 웹 어플리케이션 구동 --... 그외에 지식검색 부터 검색어 자동완성기능등 여러가지들을 말이죠.
구글의 adsense, adwords 같은 것처럼 - 그리고 님의 말씀처럼 사용자 정보에 다가가기 전에 미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web 2.0이라는 것은 상당히 두리뭉실한 개념입니다. 오라일리(O'Reilly Media)사의 브레인 스토밍중에 탄생한 용어이구요.
뭉실해도 많이 뭉실하죠; weblog, ajax, wiki, rss/atom 같은 기술도 web 2.0에 포함되고.. 최근 microsoft도 web 2.0에 뛰어들었다고도 하죠.
web 2.0에 대하여 세미나도 하고 그랬었는데 불과 4~5개월전에 ㅡㅡ; 머릿속의 지우개때문에 기억이 잘 나지 않는군요 ㅜ_ㅠ;;
romechaos
06/04/17 15:43
수정 아이콘
극히 일부유저에게만 흥미로울 글인듯;;
06/04/17 16:43
수정 아이콘
네이트닷컴. 익스 아니면 제대로 쓸 수 없는 사이트 중 하나지요.
-_- 웹 2.0보다 일단 국내 사이트들은 웹 표준이나 지켰으면 좋겠습니다.
해외 유수의 사이트들이 국내 웹 사이트 벤치마킹 하는 것은 맞습니다만 그들은 액티브x같은거 안쓰죠. (구글 어스가 대표적이죠. ajax만으로 끝내버렸으니)

덧. pgr도 예외는 아닙니다. 제로보드 시스템 의외로 웹 표준 준수라는 측면에 있어서 문제 많습니다.
06/04/17 17:23
수정 아이콘
shovel// 너무나도 공감이 가네요
브라우저로 Opera를 쓰는 저로서는 게임이나 인터넷뱅킹 이외의 용도마저도 익스플로러를 열어야 할때 답답함을 느낌니다.
MarzGirl
06/04/17 22:34
수정 아이콘
네이버에 뒤지고 있는 각종 포털들이 마케팅 아이템으로 쓰긴 좋은 단어네요. 두리뭉실 두리뭉술 ^^
06/04/18 07:30
수정 아이콘
shovel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06/04/18 14:45
수정 아이콘
웹2.0 이라. 사실 좀 뜬금없는 이야기죠.. 실체가 너무 명확하지 않아서 그렇죠.-_-; 월드와이드웹이 언제부터 웹 1.0 이였다고-_-;;

전 웹 2.0에대해서 비관론이 심합니다. 그냥 마케팅 용어죠-ㅅ- 무슨;;
06/04/18 21:42
수정 아이콘
웹2.0 현재는 큰 의미 없죠...... 관심 있는 분들만..... 의미 있는....
그리고 바뀌어도 현재 사용하는 것이랑 큰 차이는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623 드디어 그날이 왔네요. [17] 요로리4310 06/07/26 4310 0
24622 이윤열...얼마만인가요. [53] 너에게간다5191 06/07/26 5191 0
24618 무엇이 명경기이죠? [60] 남십자성5876 06/07/26 5876 0
24617 프로리그 보완 계획 [42] 김연우5534 06/07/26 5534 0
24615 아이스테이션 듀얼토너먼트 난장판조 D조가 이제 1시간도 채 안남았습니다. [634] SKY927004 06/07/26 7004 0
24614 프로리그 엔트리 공개에 대해서... [13] 폭주창공4210 06/07/26 4210 0
24613 MBC Be Champion!! It's POSsible!! [13] 테라토스토커4494 06/07/26 4494 0
24612 어제 XTM 최양락의 X-ray를 보고 [10] manush5299 06/07/26 5299 0
24610 MBC게임 히어로즈, 해적에서 영웅까지. [14] naphtaleneJ4267 06/07/26 4267 0
24609 7살 우리 딸, 이제 다 컸습니다 [38] 그러려니4994 06/07/26 4994 0
24608 프로리그 좋다. 방식만 제발 바꿔줬으면.. [132] CJ-처음이란4846 06/07/26 4846 0
24607 미국은 양심도 없다 [27] Hand4691 06/07/26 4691 0
24605 프로리그, 본질의 상실 [143] 김연우6933 06/07/26 6933 0
24603 개인리그를 좋아하는 팬으로써.. [37] Copy Cat4931 06/07/26 4931 0
24602 최근 개인리그보다 프로리그에 관심이 많아지는 이유. [47] 잠언4821 06/07/26 4821 0
24600 안녕하세요. 저를...아시나요? [14] 크리스4336 06/07/26 4336 0
24599 야오밍에게 인유어 페이스를 먹이는 첸신안(선밍밍 선수 동영상 포함) [10] 어딘데5756 06/07/26 5756 0
24597 정의와 의 [3] 외계인탐구자3843 06/07/26 3843 0
24596 인간극장에 나온 그분이 세상을 떠났더군요. [15] GutsGundam5015 06/07/26 5015 0
24595 나이가 들어도 사랑때문에 힘든 건 어쩔 수가 없군요. [29] 별마을사람들4947 06/07/25 4947 0
24594 [소설]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었던 한 소년 이야기 - 0 [4] 볼텍스4228 06/07/25 4228 0
24593 밤에 잠이 오질 않네요...개인적인 잡담... [11] 쵱녀성4192 06/07/25 4192 0
24592 김태형 해설의 저주에 관한 최종정리(데이터 추가수정) [39] 풀업프로브@_@7270 06/07/25 7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