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28 13:29:58
Name KuTaR조군
Subject 10부작 칼럼 - e스포츠가 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하여(3)
어제 8강 3경기 때문에 말이 많군요. 솔직히 경기 자체가 재밌지는 않았습니다. 짜고 할 수

도 없구요. 결정적으로 55분이란 시간을 투자해서 다시 볼 만한 가치는 적은 경기같습니다

아니, 뭐 말이 그렇다구요. 그럼 시작하도록 하지요.

--------------------------------------------------------------------------------

2002년 7월 3일. 블리자드에서는 대작 프로그램 하나를 내놓게 된다. 이름은 워크래프트3

당초 큰 인기를 끌었던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최신작으로써, 전략시뮬레이션에 RPG적 요

소를 도입한 3D게임이었다. 나오기 전부터 기대를 많이 받았던 게임답게, 나오자마자 워

크래프트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그 인기에 부합하고자 각 게임사는 각자의 워크래

프트 리그를 열게 된다. (이번 칼럼에서 워3프로리그는 다루지 않는다.)

-제 1기- 워크래프트 Reign of Chaos 일때의 리그

처음의 워크래프트리그는 모두 한빛소프트리그에서 주최한다. 즉, 워크래프트리그보다

는 워크래프트의 홍보차원에서 치뤄진 리그의 성격이 짙었다. 어찌되었든 그렇게 처음

치뤄진 리그에서 온게임넷에서는 전지윤, 엠비씨게임에서는 추승호선수가 우승하게 된다.

(특히 전지윤선수는 엠비씨게임에서는 준우승, 온게임넷에서는 2차리그까지 준우승을 차

지하며 휴먼에서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2차리그는 온게임넷에서는 황연택, 엠비씨게임에서는 임효진 선수의 두 나엘이 우

승하게 된다.

이때부터 두 방송사의 리그는 각각의 방송사가 각각의 스폰서를 따면서 분리된다. 온게임

넷에서는 3차리그인 프리매치에서는 박외식 선수가 우승, 엠비씨게임에서는 3차리그인

프라임리그1에서는 이중헌선수가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참고로 말하면 이때부터 맵 조작

이 시작된다.)

오리지날로써는 마지막 리그인 온게임넷 4차리그, 즉 HP배 워크3리그에서는 김대호선수

(순간 긷매호라고..)가 우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제 2003년 8월, 워크래프트 확장판인

프로즌쓰론이 출시된다.

-제 2기 - 워크래프트 3 Frozen Throne 리그

확장팩의 보급사인 손오공에서 치른 온게임넷 워3 확장팩 1차리그와 프라임리그2. 당초

언데드가 우세하다는 여론과 같이 언데드가 많이 선전하였으나 결국 우승은 이중헌, 장

재호의 두 나엘이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치루어진 온게임넷 워3 확장팩 2차리그. 슈마배 워크래프트3 프로리그의 결승

전과 함께 치루어져서 더 관심을 모았던 이 결승전에서는 결국 이형주 선수가 우승을 차

지하면서 최초의 2회연속 우승을 달성한다. 한편 프라임리그 3에서는 박세룡선수가 우승

하면서 최초의 엠비씨게임 휴먼 우승을 차지하는 영광을 누린다.

-제 3기 - 온게임넷 워크래프트 리그 쇠락기(?)

온게임넷은 끝내 3차리그 스폰을 잡지 못한다. 그래서 치루어진 3차리그에서는 장용석

선수가 장재호 선수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이 리그 이후로 온게임넷은 워크래프

트 개인리그를 치루지 않는다. 한편 엠비씨게임에서는 프라임리그 4에서 이재박선수가 천

정희 선수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큰 무대에 약하다는 자신의 이미지를 떨쳐내게 된다.

그리고 치루어진 프라임리그 5. 이 리그에서 우리는 제 5종족을 체험하게 된다. 바로 안

드로족. 맵 조작으로 인해 나엘이 불리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제 5종족인 안드로족을

이용하여 전승 우승을 일구어내게된다. 그리고 이 리그를 끝으로 프라임리그라는 이름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치루어진 MWL 1차리그. 결승은 신 오크의 황태자 박준과 오크를 정말 미개종족

으로 보는 MWL 오크전 전승 장재호. 결국 박준선수도 안드로장의 오크전 첫 패를 안겨주

지 못하면서 장재호 선수가 2회연속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번외- 그리고 WEG

한편 2005년은 새로운 방식의 리그가 진행되었던 뜻깊을 해였다. 바로 WEG가 그것. 카

운터스트라이크 - 컨디션 제로와 워크래프트 3의 세계대회 역할을 해 왔던 WEG. 2005년

에는 총 3번의 리그가 치루어졌다.(이번에는 워크리그만 서술한다.) 일단 1차리그에서는

장재호선수가 황태민선수를 꺾고 전승우승을 이루어내서 장재호의 이름을 드높였다. 장

재호선수는 2차리그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면서 자신의 전성기를 마음껏 과시하였다.

그리고 3차리그에서는 천정희 선수가 드디어 생애 첫 우승이자 우리나라와 관련된 리그에

서 처음으로 언데드에게 우승을 안겨주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미
06/01/28 13:32
수정 아이콘
워3…… 그저 파이팅입니다.
램파드와제라
06/01/28 13:35
수정 아이콘
-_-
KuTaR조군
06/01/28 13:35
수정 아이콘
아케미// 저도 쓰면서 안습. 국내리그는 2005년 8월에 끝난 MWL이 마지막 리그라니..
KuTaR조군
06/01/28 13:35
수정 아이콘
램파드와제라드// 그거는 무슨 의미죠? 정말 여러가지의미라서 파악을 못하겠어요..
하이맛살
06/01/28 13:36
수정 아이콘
프로즌쓰론출시가 많은영향을끼친듯..... 1년만에 확장팩이라니.......오리지날땐 보는사람도 많고 하는사람도 많았죠 요즘은 베넷 카림도어서버는 1:1 아예없죠.
KuTaR조군
06/01/28 13:38
수정 아이콘
요즘은 워3를 카오스 하려고 사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죠. 그저 무념입니다... 그리고 4편부터는 이제 좀 제대로 된 글이 나오겠네요.
제이스트
06/01/28 15:39
수정 아이콘
여담으로 워크 국내유저의 절반이 카오스를 한다는 소문도 있더라구요.. -_-;
저도 스타->카트->카오스를 즐기는 중입니다.

e-스포츠 발전에는 스타뿐만 아니라 다른 리그들의 활성화가 커져야 하는데,, 워3가 이렇게 무너진 모습을 보면..(국내..) 쩝

10부작 칼럼. 관심을 가지고 지켜 보겠습니다!

P.S 원티드 우승하자.ㅋ (응?)
버관위_스타워
06/01/28 16:43
수정 아이콘
글 제목이 e스포츠가 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하여 라고 되어있고 내용은 워3길래 한국에서 워3리그가 나아가야할길 뭐 이런게 써있을줄 알았는데 말이죠..
greatest-one
06/01/28 19:26
수정 아이콘
오타 있네요... 확장팩 이후 이중헌 장재호 두나엘이 우승부분에서
이형주 선수로 수정 바람다 이중헌선수 온겜우승 없고 준우승만3번
확장우승도없죠ㅜ.ㅜ
그리고 스타워즈님 말씀대로 히스토리 나열후에 아쉬운점이나
차후 발전방향이라던가 이런게 없는 게 아쉽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979 25일. 다시 만나는 그들. 카드를 한장 더 가진 채로. [6] ForceCop3933 06/02/16 3933 0
20978 추억의 경기(11)-SPRIS MBC 게임 스타리그 패자조 준결승 2경기 강 민 VS 이병민 [21] SKY924194 06/02/16 4194 0
20977 우리모두 장파라치가 되어봅시다 !! [7] lunaboy4028 06/02/16 4028 0
20974 이병민선수 이제는 명승부에 가해자가 되기를 [31] 초보랜덤4448 06/02/16 4448 0
20973 영파라치에 대한 참고 사항입니다.(참고해두시면 손해보는일이 줄어들어요.) [17] 나둥나둥4841 06/02/16 4841 0
20972 이번 결승에서 보고싶은 경기....(KTF 팬입니다.) [12] sgoodsq2893971 06/02/16 3971 0
20971 더 나은 중계를 위한 몇몇 건의사항 [16] 지니쏠4879 06/02/16 4879 0
20969 10부작 칼럼 - e스포츠가 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하여(5) [3] KuTaR조군4219 06/02/16 4219 0
20967 인터넷 방송의 시대가 온다! [11] 나르샤_스카이4130 06/02/16 4130 0
20966 KTF 이병민. 그 효과는..? [24] 하얀그림자5250 06/02/16 5250 0
20965 스타매니아의 재미에 관한 단상 [7] Judas Pain4632 06/02/16 4632 0
20964 달라진 파이터포럼? [4] 천생연4124 06/02/16 4124 0
20963 시간이 가는게 무섭다. [14] 비롱투유4862 06/02/16 4862 0
20959 이번 결승 대박이네요.(엔트리 예측) [53] SKY926089 06/02/15 6089 0
20958 2005년의 대미를 장식할 최후의 승부 SKT T1 VS KTF [64] 초보랜덤5560 06/02/15 5560 0
20957 마음대로 정의하는 S급...A급...그리고 B- [39] 나도가끔은...5522 06/02/15 5522 0
20956 프로리그에서 테란 플토 조합이 잘 나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25] 신소망4157 06/02/15 4157 0
20953 플레이오프 엔트리가 발표되었습니다. [353] 호나우딩요8507 06/02/15 8507 0
20952 정수영 감독의 엔트리구성은 정말로 문제인가? [34] 다크고스트5294 06/02/15 5294 0
20950 다크고스트가 선정한 2005~2006 Best Player... [22] 다크고스트4354 06/02/15 4354 0
20948 인터넷이 없었다면... [30] 신소망4014 06/02/15 4014 0
20947 NaDa & Terran...테란의 버려진 것들을 이용해 더 높은 곳으로...4 [62] 풀업프로브@_@4331 06/02/15 4331 0
20945 D-DAY 어느팀이 장충으로 가느냐 (오늘의 운명을 가를 양팀의 키플레이어) [26] 초보랜덤3906 06/02/15 39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