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08 23:52:09
Name 김호철
Subject 송병구선수의 승리..참 많은 의의가 있는 승리 같습니다.


오늘 송병구선수의 듀얼2라운드통과 스타리그진출이 단순히 듀얼에서 경기 승리하고 스타리그 진출했다는 사실하나로 설명이 부족할 만큼 많은 의미가 있는 승리였다고 봅니다.

모든 분이 다 아는 사실이지만 그래도 몇가지 정리해보죠.^^




첫째 :

오늘 듀얼2라운드 통과로 예전 챌린지리그 우승후 스타리그 첫출전후 3연속 스타리그 진출을 이뤄냈습니다.

비교적 신인급선수 치고는 대단한 성과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둘째 :

송병구선수와 박성준선수 모두 스타리그에 진출함으로써 캐스파컵에서 우승한 삼성전자칸의 호분위기를 계속 이어나갑니다.

지금 이 시점이 삼성칸팀 입장으로서는 최고의 전성기가 아닌가 합니다.



세째 :

이윤열과 조용호라는 플토킬러들을 하루에 연달아 모두 꺽었습니다.

이 두선수 때문에 듀얼2라운드 A조 통과자 예상이 애초에는 송병구선수의 통과가능성이 희박해보였습니다만 지금 결과는 정반대로 되었습니다.



네째 :

왕테란맵...플토왕암울맵이라고 플토팬들에게 비극이 되었던 815맵에서 송병구선수가 새로운 하나의 희망을 보여 주었습니다.

815에서 자주 허무하게 패배하던 다른 플토들을 보다가 오랜만에 환상적으로 이기는 플토의 등장이란....

송병구선수를 지켜보는 팬들의 관심도는 폭발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섯째 :

아무리 이윤열선수가 지금 슬럼프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명실상부한 최고의 테란이며 S급선수임에는 변함없는 사실입니다.

그런 이윤열선수를 상대로 기존의 안드로메다를 넘어선 앞으로 당분간 많은 스타팬들의 입에 오르내릴 희대의 관광을 선보이면서 새로운 신개념관광 아이어관광이 태동하게 되었습니다.

아이어관광 전설의 주인공....바로 송병구선수입니다.





오늘의 송병구선수의 승리..

참 많은 의미를 지닌 승리 같습니다.


앞으로 송병구선수의 활약을 더 기대해보며

이윤열 선수야 뭐...워낙 강한 선수이다 보니 곧 다시 부활할 꺼라 믿습니다.










PS 1 :

오늘 이윤열vs송병구 경기를 다 보고 나서 지금까지도 제 머리속에 생각나는 것은 김창선해설의 '프로토스의 고향별 아이어 관광'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재밌네요.

김창선해설님...오늘 대박입니다.^^



PS 2 :

이윤열선수가 듀얼까지 떨어져 지금 슬럼프인 것이 분명한 것처럼 보입니다만 강민팬인 저로서는 그 슬럼프가 슬럼프처럼 보이지도 않습니다.

이윤열선수의 지금의 잠깐 부진이 슬럼프라면 강민선수는 슬럼프 보다 더한 ㅠ.ㅠ....

이윤열선수가 지금은 그냥 좀 쉬는 것처럼 보일 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영대
05/10/08 23:58
수정 아이콘
강민 선수와 이윤열 선수 두분이 다다음 시즌에 함께 등장하여 대 파란을 일으켜 주길 바랍니다. :)
한종훈
05/10/08 23:58
수정 아이콘
도대체 강민 선수가 왜 슬럼픈지 이해할 순 없습니다만(엠비씨 게임 스타리그 진출, 프로리그 맹활약) 일단 박성준 선수 올라가서 기쁘고, 이윤열 선수의 탈락도 아쉽네요. 그렇게 떨어질 선수는 아닌데 말이죠.
김성민
05/10/09 00:03
수정 아이콘
강민 선수 슬럼프 맞죠.
개막전에서도 패배해서 패자조 추락에다가 온게임넷 다시 피시방행.
게다가 프로리그에서의 활약도 결승에서 박용욱 선수에게 완전히 당하고 케스파컵에서 송병구 선수에게 완패하는 바람에 많이 빛이 바랬죠.
송지민
05/10/09 00:03
수정 아이콘
아이어 관광ㅋ
프로토스 화이팅!
가승희
05/10/09 00:08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는 슬럼프 아닌 슬럼프라고 봅니다.
실력이 부족해서 성적이 떨어진다기 보단 정말 꼭 잡아야할 경기는 못잡는다는 생각을 합니다. 정작 프로리그 결승에선 패했고 듀얼에서 충분히 올라갈수 있는상황에서 (한승엽선수와의 듀얼승자전경기 이윤열선수와의 최종진출전 유리한경기 패배)
그리고 성적상으로 보면 강민선수 슬럼프 맞습니다.
랭킹 30위권밖으로 추락했고 오랜시간동안 메이저대회와는 등한시했으니깐요.. MSL진출만으로 슬럼프를 극복했다고 하기 그렇죠
MSL에서 몇위의 성적을 거두냐의 따라 다르겠지만요
그리고 프로리그 활약은 프로리그일뿐... 결국 개인리그에서 활약하지 못하면 개인의 명예를 찾기는 힘들겁니다.
05/10/09 00:17
수정 아이콘
전혀 딴소리지만...
피지알에는 본명으로 리플다는게 대세? ㅡㅡㅋ
김정화
05/10/09 00:28
수정 아이콘
저도 실명입니다^^ 참고로 납자입니다...ㅠ.ㅠ(전~~혀 딴소리...ㅠ.ㅠ)
05/10/09 00:28
수정 아이콘
루트 // 전혀 예상치도 못한 날카로운 관찰력 -_-..
뱃살토스
05/10/09 01:09
수정 아이콘
글쓴분도 실명인가 보네요..
05/10/09 01:47
수정 아이콘
실명이신 분들, 다들 친구분인가요? ^^
05/10/09 02:07
수정 아이콘
세째 -> 셋째, 네째 -> 넷째 로 바꾸셔야 할것 같네요.
학창시절때만 해도 저도 세째,네째로 배웠지만
바뀐지 꽤 되었다고 하더라구요. ^^
홍승식
05/10/09 08:50
수정 아이콘
서로 얼굴을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닉네임이나 실명이나 그다지 다른 의미를 가지진 않겠죠.
다른 커뮤니티에서 오랫동안 사용하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닉네임도 있지만,
실명을 쓰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아요. ^^;
유신영
05/10/09 11:32
수정 아이콘
삼성 화이팅 ㅜㅜ
KOR 이랑 SOUL 도 힘내요~!
블루 위시
05/10/10 22:36
수정 아이콘
가승희님..
이름땜시 고생이 많으실 듯.. = _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527 우주에서 검색해본 現 GO VS 舊 GO [14] 이스라엘왕자3941 05/12/26 3941 0
19526 [잡담]이제 마지막 경기입니다. [14] Daviforever4625 05/12/26 4625 0
19525 8차MSL에서 T1팀 선수들 첫경기에서 안 만나게 조지명 하는 방법. [27] 최강견신 성제4944 05/12/25 4944 0
19524 이영표,프리미어리그 ‘톱 100’ 최초 진입…공식홈피서 96위 [9] N.E.X.T3867 05/12/25 3867 0
19523 개그콘서트 보십니까? [52] 닭템5517 05/12/25 5517 0
19522 게임 장르의 표준을 제시한 게임 [72] 닭템5288 05/12/25 5288 0
19521 꽃미남 전성시대. [19] 히또끼리5485 05/12/25 5485 0
19520 크리스마스의 추억 [3] 한동욱최고V3471 05/12/25 3471 0
19518 차기MSL 토스가 무려 7명이더군요...근데 토스들 긴장해야할듯합니다..=_=+ [26] 로망테란7157 05/12/25 7157 0
19516 24년 인생 최악의 크리스마스 [35] HALU5240 05/12/25 5240 0
19515 개인적으로 꼽은 2005 E-Sports 10대 사건(6) [7] The Siria7271 05/12/25 7271 0
19514 당신이 네게 오늘 물으신다면..... [9] 순수나라4152 05/12/25 4152 0
19512 즐거운 성탄절 새벽에 사과드립니다. [6] GuriGuri[lym]4068 05/12/25 4068 0
19511 서든어택 하시는분? [3] 현란한암내4592 05/12/25 4592 0
19510 유주얼 서스펙트 - 내생애 최고의 걸작 (스포일러 1%) [28] aSlLeR4367 05/12/25 4367 0
19509 오늘 또 종교 문제 때문에 친구랑 싸웠습니다. [44] Radixsort4183 05/12/25 4183 0
19508 외로운 크리스마스, 영화와 함께 보내기 [6] 럭키잭5061 05/12/25 5061 0
19507 오늘 모하셨어요? 커플님들?? (농구 관람기) [26] SuoooO4422 05/12/25 4422 0
19506 서로다른 관점.. 억울함. [5] 천재를넘어4116 05/12/24 4116 0
19505 CYON MSL BGM 몇 개(못찾은 거 많습니다 ㅠ_ㅠ) + 잡담 [15] BluSkai4389 05/12/24 4389 0
19504 역대 MBC게임 맵 밸런스(+온게임넷 EVER 2005 이후 밸런스) [14] 스타워즈7291 05/12/24 7291 0
19503 제2의 국민맵으로 쓸만한것은? [81] SEIJI7842 05/12/24 7842 0
19502 가식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6] HolyNight4534 05/12/24 453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