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 Date | 
 
2005/08/01 19:21:44  | 
 
 | Name | 
 총알이 모자라. | 
 
 | Subject | 
 레벨다운의 계절  | 
 
 | 
 
     
   
역시 프로리그 결승전이 끝나고 나서 글들이 무척이나 많아졌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애정이 지나쳐 미움으로 보이는 것도 있습니다. 
 
그 마음은 이해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해서는 안되는 말이 있고 행동이 있습니다. 
 
상대를 두둘겨 패놓고 사랑하니까 이해하라고 하면 안 되는 거죠. 
 
며칠사이 이런 저런 이유로 포인트를 깍이고 레벨다운 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까짓 이 사이트에 글 올리는 권한이 대수냐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저는 조금은 신중 
 
하고 차분한 것이 올바른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옳고 그른가 하는 문제와는 별개로 누가 더 올바른 태도로 문제를 대하는가 하는 것 
 
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퇴계 이황이 고봉 기대승과 나누던 "사단 칠정에 관한 논변"을 보십시오.  
 
선배의 이론에 반기를 든 고봉도 비범하지만, 그것을 넓은 아량으로 받아들인 퇴계의 태도 
 
에 더욱 감탄하게 됩니다.  
 
8년 동안의 논변이 진행되는 동안에 퇴계는 고봉의 이론을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발견할 때마다 개정하기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논변이 시작될 무렵 퇴계는 대사성까지 지낸 59세의 대가였던 데 비하여 고봉은 갓 과거 
 
에 급제한 33세의 소장학자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장장 8년 동안의 논변이 가능하였고 그것이 드디어 당시의 정체된 학문 풍토에 새바람을  
 
불러 일으켜 우리나라 성리학의 발전을 가져왔는데 이것은 퇴계의 겸허한 학문태도 때문 
 
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러한 그의 태도를 그의 제자는 "선생은 겸허로써 덕을 삼아 털끝만큼도 교만하여 잘난  
 
체 하는 마음이 없었다."라고 평하였습니다. 
 
올바른 태도를 갖추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물며 올바른 태도를 갖추려 노력도 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이 처음 알고 지 
 
키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도 잃어버리게 됩니다.  
 
올바른 태도를 갖추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배려일 뿐 아니라 자신의 논리 
 
와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인 것입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